낯선 골목길을 걷는 디자이너
정재완 지음 / 안그라픽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확하고 아름다운 당신의 산책

북디자인 수업을 틈틈히 듣고 있다. 수업을 들으니 책을 더욱 귀하게 여기고 정확히 사랑하는 기분이 든다. 어떤 책이 아름답다 여겨질 때 그 책의 어디가 어떻게 아름다운지, 그러니까 어떤 폰트에 어떤 내지를 썼고, 인쇄에 쓰인 잉크의 색감과 레이아웃은 어떠며, 표지와 후가공은 어떻게 들어갔는지 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무엇보다 책의 물성과 아름다움에 감동하는 요즈음.

물론 디자인이 아름다움만을 추구하지는 않는다. 책은 내용을 전달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활용되고, 나는 책을 소품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보다는 살아 있는 것, 생동하는 힘을 가진 것으로 느낀다. 내가 좋은 책이 많은 공간에서 쉬이 얼어붙고 긴장하며 울 것 같은 기분을 느끼는 이유는 아마 거기에 있을 테다. 어떤 책들은 너무도 살아 있고, 나는 여전히 독자로서 책에 담긴 내용과 밀접하게 만나기를 원한다. 그렇기에 도리어, 책의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고 책의 만듦새에 그것을 반영하는 디자인이 좋다. 그건 정확성의 문제니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정확하며 아름다운 디자인을 지녔다. 내용과 책의 만듦새가 맞아 떨어져 반짝거리는 듯한 책이다. 이 책의 작가는 출판사 ‘사월의눈’에서 사진책을 맡고 있는 정재완 디자이너이다. 그는 대구에서 머무르며 골목골목을 산책하고, 거기에서 발견된 사유를 풀어나간다. 거리를 채운 간판의 폰트와 산책자의 태도 등 생활인의 시각이 돋보이는 주제들부터 제로웨이스트와 고쳐쓰기, 비거니즘, 재개발같은 굵직한 주제에 이르기까지, 디자이너답게 밝은 눈을 유지하며 말을 잇는 점이 좋았다. 그를 따라 걷는 기분, 함께 산책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책은 흔치 않다.

전부 읽은 후에는 사람에 따라 길거리에서 발견하는 것이 다르겠구나, 같은 길이라도 걷는 사람에 따라 우리 모두가 다른 산책을 하겠구나, 그런 생각 또한 함께 들었다. 나는 오늘 오가는 길에서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는 색색 연등들을 보고 기도를 했고, 아끼는 가게들과 사장님들을 다시 만났고, 유난히 환하게 피어 있는 가로수 풀꽃들을 여러 송이 보았다. 오늘은 일요일. 집앞 세탁소에서 기르는 강아지인 금동이를 못 봐 아쉬웠다. 이상. 그나저나 내가 안그라픽스의 책들처럼 고운 무엇을 만들 날이 올까? 그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