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난민 - 제10회 권정생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83
표명희 지음 / 창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부지 푸념 같기도 한 그 구절이 해나의 가슴에 들어와 앉을 때, 내 마음도 쿵 하고 내려앉았다.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는 넋두리가 어디선가 들려왔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그들이 살고 있는 그곳은 그런 곳이었다. 누구는 가문에서 정한 남자와 결혼하지 않아 '가족의 명예를 더럽혔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할 뻔했고, 또 다른 누구는 베트남 파병 군인이던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캄보디아 보트피플로 살다 왔다. 백인 남자와 사랑에 빠졌다는 이유로 살해 위협을 받고 도망치기도 했고, 미혼모로, 성소수자로 살아가고 있는 이들도 있었다. 늘어놓자면 사연 하나 없는 사람이 어딨겠냐마는, 이들의 사연 역시 기구하다. 모두들 몸과 마음에 상처가 나 있어, 어디서부터 또 누구부터 들여다봐야 할지 모르겠다. 그러니까 사실 나는 조금 혼란스러웠다.

읽는 내내, 나를 덮쳐온 혼란의 정체에 대해서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알고 있었으면서도 거듭 생각을 반복해야 했던 이유는 '내가 그들과 나 사이에 진한 선을 긋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였던 것 같다. 그러면서도 그 선은 알게 모르게 더 짙어져만 갔다. 선을 지워야지, 생각할수록 선은 켜켜이 쌓여 벽이 되어가는 느낌이 들었다.

- 교육적으로도 좋은 환경이라고 볼 수 있어요.
- 난민들만 잔뜩 모여 있는 곳이요?
- 그들이야말로 엄청난 삶의 모험을 한 사람들이잖아요. 그것도 전 세계에서 모여든, 다양한 문화권 사람들이니 말도 문화도 자연스레 접할 수 있고... 쉽게 말해, 인터내셔널 스쿨쯤으로 생각하면 될 거예요. (본문 127쪽)

말도 안 되는 이상한 논리였다. 그런데 그 이상한 논리가 통했다. 듣다 보면 그럴싸하기도 했다. 난민 인정률이 극도로 낮다지만(실제 지난해 1~10월 난민 인정률은 1.9%라고 한다), 그래도 100명 중 2명은 난민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 두 명이 내가 될지, 모르는 일이었다. 그 가열찬 희망 속에는 본국으로 송환되어야 하는 98명의 뒷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아니, 사실은 애써 외면되었다) 그제야, 두 개의 섬을 연결해 메우고 다지며 자연에 인공을 더해 새롭게 태어나고 있는 땅(126쪽)이 보였다. 어느 누구도 살아보지 않은, 과거도 없고 뿌리도 없는 곳은 그들을 공중으로 붕- 띄워 놓고 있었다. 국가는 그들을 감싸 안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우리는, 난민이 아닌가? 하고 질문하게 된다. 난민의 지위를 겨우 빗겨난 우리는, 그들과는 달라 하고 선을 그어대던 우리는, 그들과 얼마나 다른 삶을 살고 있는지- 하고.

- 우리도 난민이야?
- 아냐. 그냥 넌, 민이야.
- 맞아 난. 민! 민이야. 강민. (본문 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