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성만이 무기다 - 읽기에서 시작하는 어른들의 공부법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김해용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7년 9월
평점 :
동물은 우리보다 훨씬 현실 세계를 사는 것에만 만족한다. (...) 동물은 우리 인간과 비교해 어떤 의미에서 정말 현명하다고 말할 수 있다. 즉 편안하고 불투명하지 않은 현실을 향유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동물은 육체를 얻은 현실이다. 그 명확한 정서의 안정은 사고와 불안에 의해 누차 동요하고, 불만을 쉬이 품는 우리 자신을 부끄럽게 만드는 데 일조한다. (...) 우리가 애완동물에 대해 갖는 기쁨은 그야말로 이 동물 특유의 현실에 완전히 매몰되어 있다는 부분이 크다. 애완동물들은 의인화된 현실이며, 우리에게 스스럼없는, 불투명하지 않은 시간의 가치를 느끼게 해준다. -쇼펜하우어 (본문 230쪽에서)
아트만이라는 이름의 강아지를 키운 쇼펜하우어는 동물을 관찰하면서 이와 같은 통찰에 이르렀다고 한다. 반려동물들이 단지 귀여움만으로 인간을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현재를 살아가는 만족을 구현함으로써 인간에게 가르침을 준다니. 쉽게 공감되면서도 신선한 해석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그의 해석을 '통찰'이라고 부른다.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과 현상을 꿰뚫어보고 그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