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낌없이 뺏는 사랑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7년 6월
평점 :
보스턴에 있는 문학 잡지사에서 회계사로 일하고 있는 조지. 별일 없는 일상이 나른해지던 가운데 단골 바에서 느닷없이 사라져버린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 20년 만에 나타난 그녀는 놀란 그가 숨도 제대로 고르기 전에 어려운 부탁을 내놓는다. 20년이 지났어도 사그라들지 않은 매력적인 자태로. 조지는 그녀의 부탁을 들어주기로 한다. 이 이야기는 그렇게 시작된다.
그녀의 부탁을 들어주기 무섭게, 아니 그녀가 느닷없이 조지의 삶에 다시 나타나기 무섭게 그의 삶에는 이상한 일들이 일어난다. 매일 지나던 길에서 폭행을 당하고, 여자친구에게도 위협이 가해진다. 갑자기 뒤흔들리는 조지의 삶은 불안으로 가득하다. 그 가운데 조지는 오드리와의 20년 전을 떠올리게 된다.
하나하나 떠오르는 기억들, 풀려가는 미스터리.
감각에 의한 것도, 이성에 의한 것도 절대적으로 확실한 것은 되지 못한다. 조지는(그리고 우리 독자들은) 상황을 추리하고 힘들게 예측해나감으로써 진실을 밝혀나가야만 한다. 이 소설의 뿌리는(아마 추리소설들이 다 그렇겠지만) 바로 거기에 있다. 우리는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고통받는다. 그러나 그것을 이해하자마자 말할 수 없는 지적 쾌감을 맛보는 것이다. 맞다. 미지의 것에 대한 번민과 수수께끼를 풀었을 때의 환희. 바로 그것들이 추리의 맥이다. 물론 그 숨겨진 수수께끼의 정답이 우리 마음에 내키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소설이) 주인공만으로도 모자라 우리 모두를 불안에 빠지게 하는 상황에 이르게 했다면, 그로써 이미 좋은 추리소설이 아닐까. 우리의 심리는 이미 그에게 꽉 붙들렸으니 말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영화 속 룰루처럼 새로운 나를 만들어냈다면 그게 원래 모습보다 더 솔직하고... 진정한 내가 아닐까? 아무도 가족을 선택할 수 없어. 이름이나 외모, 부모도 선택할 수 없고. 하지만 나이를 먹으면서 선택권이 생기고 자신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 될 수 있는거야. (286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