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생애
이승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배는 선희를 몰랐고, 선희를 모른다는 사실을 몰랐다. 형배는 사랑을 오해했고, 사랑을 이해하고 있다고 오해했다. 그녀를 구하기 위한 행동이, 그녀를 자신에게 끌어당기기 위해 한 행동이 외려 그녀를 그에게로 되돌려보내는 강력한 원인이 되었을 때- 그제야 그는 자신이 선희를 몰랐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제야, 그 사랑을 해부해보고 싶었던 걸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일종의, 반성 차원에서.

2002년 알랭 드 보통의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가 출간된 이후, 그는 줄곧 한국 독자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왔다. (나 역시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 엄청 호들갑을 떨었더랬다) 하지만 그 책이 이미 1995년에 출간되었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나는 같은 책이 갑자기 큰 사랑을 받게 된 데는 단연 제목의 변화가 큰 역할을 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95년 출간 당시, 이 책의 제목은 <로맨스>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누군가의 '로맨스'에는 심드렁할 수 있지만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심드렁해지기 어려웠던 것이다.

물론 알랭 드 보통의 인기는 그의 소설이 취하고 있는 '형식' 측면에서 따져보는 게 옳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소설을 통해서 사랑이라는 감정을 해석하고 나섰다. 물론 연애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흥미진진했지만, '해석'하고 '해부'했던 측면이 없었다면 그 소설이 그렇게까지 큰 인기몰이를 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자신의 연애를 끊임없이 분석하고, 인용하고, 논증하는 과정은 사랑이라는 감정과 뒤섞여 어느 순간 반짝하고 빛을 발했다. 그 빛을, 이승우의 소설 <사랑의 생애>에서도 발견했다.

사랑하는 사람은 사랑의 숙주이다. 사랑은 누군가에게 홀려서 사랑하기로 작정한 사람의 내부에서 생을 시작한다. 어떤 사람은 사랑이 마치 물이나 수렁이라도 되는 것처럼, 아니면 누군가 파놓은 함정이라도 되는 것처럼, 난 사랑에 빠졌어, 라고 말한다. 사랑이 사람이 빠지거나 잠길 수 있는 것인 양 물화시켜 말하는 이런 수사는 사랑의 불가항력적 성격을 표현하면서 동시에 그에 대한 무의식적인 저항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어딘가에 빠진 사람은 무력하다는 인식이 이 문장의 바탕에 자리하고 있다. 그곳이 어디든, 어딘가에 빠진 사람은 그 스스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매우 곤란한 상황에 놓인다. 가령 수렁에 빠진 사람은 거기에 빠질지 모르는 상태에서 빠지고, 외부에서 누군가 건져주지 않으면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런 점에서 불가항력적이다. (이승우, 사랑의 생애, 9-10쪽)

여러 측면에서 알랭 드 보통의 초기 3부작이 떠올랐다. 특히 사랑이라는 감정을 한 발자국 뒤로 물러서서 해석하려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랬다. 하지만 확실히 다른 부분도 있었다. 뭐랄까, 알랭 드 보통의 해석이 주로 인용하고 논증하고, 그리하여 분석하는 쪽에 가까웠다면(훨씬 사회과학적이었달까) 이승우의 해석은 고민하고, 반성하고, 그리하여 후회하는 쪽에 가깝다. 그러니까 훨씬 감정적인 것. 더군다나 읽는 맛을 아주 제대로 냈다. (이 글을 영어로 번역한다면, 이 느낌이 제대로 나려나. 아닐 것 같다) 술술 읽히지만, 읽다 보면 모호하고 문장이 끝났을 때 즈음에야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히는 그런 문장들이 계속된다. 나는 그것이 사랑의 진짜 모습이라고 생각했다. 잡힐 듯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사랑한다고 말하는 순간, 그 말은 그 말을 듣는 사람만 아니라 그 말을 하는 사람도 겨냥한다. 더욱 겨냥한다. 그 말을 하는 사람은 자기가 하는 말을 듣기도 하기 때문이다. 듣는 사람은 듣기만 하는 사람이지만 하는 사람은 하면서 듣기도 하는 사람이다. 듣는 사람은 잘못 들을 수도 있지만 하는 사람, 하면서 듣는 사람은 잘못 들을 수도 없는 사람이다. 그래서 사랑한다고 말한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이 된다. 되지 않을 수 없다. 사랑한다는 말을 하기는 어렵지만 사랑한다는 말을 해놓고 사랑하지 않기는 더욱 어렵다. (이승우, 사랑의 생애, 131쪽)

그러고 보면 형배는 이번에도 사랑을 시작하지도 못한 채 끝맺었다. 이렇듯 사랑의 생애란, 누군가에게는 찰나의 것이고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영원의 것이리니. 그 찰나의 것에 완전히 매혹되어 며칠간을 보냈던 나는, 이번에도 또 사랑에 속았던 것이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