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생애
이승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3월
평점 :
형배는 선희를 몰랐고, 선희를 모른다는 사실을 몰랐다. 형배는 사랑을 오해했고, 사랑을 이해하고 있다고 오해했다. 그녀를 구하기 위한 행동이, 그녀를 자신에게 끌어당기기 위해 한 행동이 외려 그녀를 그에게로 되돌려보내는 강력한 원인이 되었을 때- 그제야 그는 자신이 선희를 몰랐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제야, 그 사랑을 해부해보고 싶었던 걸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일종의, 반성 차원에서.
2002년 알랭 드 보통의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가 출간된 이후, 그는 줄곧 한국 독자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왔다. (나 역시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 엄청 호들갑을 떨었더랬다) 하지만 그 책이 이미 1995년에 출간되었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나는 같은 책이 갑자기 큰 사랑을 받게 된 데는 단연 제목의 변화가 큰 역할을 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95년 출간 당시, 이 책의 제목은 <로맨스>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누군가의 '로맨스'에는 심드렁할 수 있지만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심드렁해지기 어려웠던 것이다.
물론 알랭 드 보통의 인기는 그의 소설이 취하고 있는 '형식' 측면에서 따져보는 게 옳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소설을 통해서 사랑이라는 감정을 해석하고 나섰다. 물론 연애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흥미진진했지만, '해석'하고 '해부'했던 측면이 없었다면 그 소설이 그렇게까지 큰 인기몰이를 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자신의 연애를 끊임없이 분석하고, 인용하고, 논증하는 과정은 사랑이라는 감정과 뒤섞여 어느 순간 반짝하고 빛을 발했다. 그 빛을, 이승우의 소설 <사랑의 생애>에서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