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방자들 ㅣ 창비청소년문학 76
김남중 지음 / 창비 / 2016년 12월
평점 :
소설 <해방자들>의 배경은 낯설다. '렌막'이라는 말도 쉬이 입에 붙지 않는다. 그 어감이 어딘지 모르게 미래적이어서, 과연 이 지구에 존재하기나 하는걸까, 하는 의구심이 자꾸 든다. 어쩌면 그곳은 미래의 어떤 곳일지 모른다. 아직 오지 않은 곳, 아직 닥치지 않은 일. 그런 설정이 어딘지 모르게 순진하다고 여겨졌다. 그것이 그들의 급박한 상황들을 저만치 떨어져서 관망할 수 있었던 이유가 됐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언제까지고 관망하는 자세를 취할수는 없었다. 그것이 비단 '그들만의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됐기 때문이다. 사랑과 출산이 엄격하게 통제된 그곳은 '삼포'를 넘어 '오포'를 향해 가고 있는 우리 젊은이들의 모습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으며, 부유하고 평화로운 곳으로 어떻게든 가고자 하는 마음은 이주민 문제나 '서울에 있는 대학'에 가기위한 전쟁같은 학구열과 직결된다. 그러니까 소설 <해방자들>은 '렌막시티'라는 낯선 곳을 빌어 우리 사회에 감춰진 부조리함과 물밑의 갈등을 내밀하게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단연 자유 지역 사람들이 진압군을 향해 투쟁하던 장면. 그것은 흡사 프랑스혁명이나 5.18민주항쟁의 한 장면이기도 했으며, 오늘의 촛불정국의 단면이기도 했다. "무기를 버리고 투항하라!"는 진압군의 확성기 소리에 누군가 사람들을 불러모아 "이럴 때 칵테일 한 잔 어때요?"(183쪽)라고 했을때는 나도 모르게 작은 희열이 일기도 했다.
소설은 묻는다. '정부가 사랑을 검열해도 괜찮은가?' 그것은 곧, 전체주의 사회가 국민들을 어디까지 통제할 수 있느냐, 혹은 어디까지 통제해도 되는가와 직결된다. (아니 사실은, 전체주의 사회가 가능한가-의 물음일지도 모르겠다) 통제하려는 힘이 클수록, 자유를 찾는 힘도 커진다. 그 팽팽한 줄다리기 사이에서 열여덟 살 지니와 소우가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는 것 또한 흥미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