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세상을 리셋하고 싶습니다
엄기호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우리 사회는 '하면 된다'는 약속 위에 서 있다. 누구든 노력만 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근대 사회는 신분이 아니라 개인의 노력이 그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사회를 말한다. 이 약속에 따라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개인들은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취된 능력에 따라 자기 삶을 성찰하고 생애를 기획해 나간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노력이 아닌 '노오력'을 해도 쉽사리 삶의 방향이 보이지 않았다. 삶을 기획하기는커녕 누군가 기획해놓은 삶에 나를 끼워 넣는 것도 어렵기만 했다. "너는 할 수 있다!", "하면 된다!"를 들으며 자라왔는데, 막상 사회에 나와 부딪힌 벽은 "할 수 있으면 해보라지"를 말하고 있었다. 그래도 쉽게 포기하지는 않았다. 어떻게든 삶을 긍정하려 했고, 할 수 있는 갖은 노오력들을 해가며 벽에 오르길 시도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 모든 것이 허무해져버렸다.
2016년 10월, 우리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앞에서 완전히 무너졌다.
비단 국정 농단의 처참함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이제까지 해왔던 노오력들이 정말이지 부질없었음을 여실히 드러내주는 사건이었고, 나아가서는 이 사회를 지탱하고 있던 최소한의 약속조차 지켜지고 있지 않음이 확인되는 사건이었다. 다시 말해 232만 촛불이 말하는 것, 그것은 애써 믿어왔던 긍정의 신화를 무너뜨림에 대한 분노였고, 어디를 향해야 좋을지 몰랐던 우울의 정체를 실체화함으로써 드러난 것이기도 했다. 내 안을 향해 뻗어있던 화가 방향을 틀어 누군가를 향해 나아간 것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공포스러운 일은 자기를 잃는 것이고, 가장 피곤한 일은 자기를 유지하는 것이다. (51쪽)
무-사유와 무-성찰성이 사람을 괴물로 만든다. (57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