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히 졸업 - 소설가 8인의 학교 연대기
장강명 외 지음 / 창비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당신의 학창시절은 거지 같았습니까? 누군가가 묻는다. 고개를 끄덕인 몇몇에게 글을 부탁했다. 당신의 고등학교 시절을 르포 문학의 형태로 써 달라고. 가능한 직접 겪은 일이나 실제로 있었던 일에 대해 써주면 좋겠다고. 그러니까 자신의 시대에만 잠시 있었고, 그래서 내 세대만 알았던 무엇인가를 기록해달라고. 그 기획의도가 무척이나 인상적이었다. 이 책 <다행히 졸업>은 그렇게 만들어졌다. 1973년생부터 1993년생까지 아홉 명의 작가들이 모여 자신의 학창시절을 이야기했다. 무려 25년의 세월이다. 많은 것이 변했지만, 대한민국에서 '고등학생'으로 산다는 것에 대한 공통의 감정은 고스란히 남아있을 것이다. 아홉 개의 이야기 중, '단편하게책읽는당'을 통해 김아정의 <환한 밤>을 먼저 받아들었다.

2. 엄마와의 대화란 언제나 말다툼이었다. 나에게 엄마의 말은 충고가 아닌 잔소리였고, 엄마에게 나의 말은 대답이 아닌 말대꾸였다. 한참 잔소리와 말대꾸가 오가다 끝내 내가 침묵을 택하는 것으로 대화는 종결되곤 했다. (김아정, '환한 밤' 중에서)

3.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사업을 했는데 그게 잘 안됐다, 그래서 당분간 시골 할머니 집에서 지내야겠다,는 청천벽력 같은 아빠의 선언? 아니 통보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이제 겨우 고1인 '나'는 엄마처럼 아빠의 멱살을 잡지도, 고1이나 된 주제에 엉엉 울며 자리에 드러누워버리지도 못한다. 그렇게 시작된 시골생활. 그맘때의 아이들이 다 그렇듯 '나'도 가난이 부끄럽다. 서울에서 왔다고 하니 호기심을 보이는 같은 반 아이들에게 괜한 거짓말도 하게 된다. 예컨대 '홍대의 버스킹도 좋지만, 북촌의 고즈넉함이 더 좋더라 나는.' 그런 거. 이제 와 돌이켜보면 그런 게 다 무슨 의미겠냐마는, 그때는 그게 중요했다. 부끄럽지 않은 거. 아니, 더 정확히는 쪽팔리지 않는 거.
어쨌거나 시골생활이 쪽팔리고, 요금을 내지 못해 수신도 발신도 되지 않는 휴대전화가 쪽팔리고, 아빠 아는 분의 딸내미가 입던 오래된 교복이 쪽팔리던 찰나 하룻밤 일탈을 하게 된다. 아무 일 없었다면, 정말 아무 일 없었고- 정말 아무 일도 없었다기엔 '내' 인생 일대의 가장 큰 사건이었던 그날 밤. 소설은 그날 밤을 쓰고 있다.

4. 그러고 보니 내게도 '그날 밤'이 있었다. 소설 속의 '나'처럼 밤에 몰래 학교에 잠입해들어갔던 것은 아니었고,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대담했던 것 같기도 한데) 그냥 어느 날 밤-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아이들이 모두 집으로 돌아간 아주아주 늦은 밤. 그러니까 아마도 새벽 한 시 반쯤은 되었던 것 같은데, 친구 두 명과 그냥, 궁금해서- 소화기를 뿌려보았다. "소화기 사용법 알아요?"하는 어느 영화의 대사를 이야기하다가 였던 것 같은데, 그게 행동으로까지 이어진 걸 보니 10대는 10대였던 것 같다. 어쨌거나 안전핀을 뽑고 힘껏 꾸욱. 그랬더니 그 오래된 소화기에서 하얀 가루가 푸와아아아악-하고 쏟아져 나왔다. 의외로 작동이 쉬워서 깜짝 놀랐고, 손끝으로 전해져오는 쾌감이 찌릿해서 또 깜짝 놀랐다. 오! 이거 재미있는데? 해서, 소화기 몇 개를 주워들고 운동장에다 소화기를 마음껏 뿌렸다. 아마도, 새벽 두 시의 일. 새벽 두 시, 19살이 셋 모이면 뭐든 할 수 있다. 어떤 미친 짓도. (암요 암요) 그러고 보니 나도, 다행히 졸업을 했다.

5. 오랜만에 그때 그 시절로 슈욱-하고 돌아갔다 온 느낌이다. 아른아른 아지랑이처럼 예쁘지만, 그래도 그 안에 뭔가 다이내믹함이 남아있던 시절. 제일 큰 걱정이라고 해봐야 수능에서 몇 등급을 받을 것인가!였던 그 시절이 참 좋았다. 아아, 다른 누군가는 또 그 시절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으려나. 그게, 이 책을 더 읽어봐야 할 이유라면 이유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