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딜레마 - 당신의 행복과 소비는 어떻게 은밀히 설계되는가?
윤재영 지음 / 김영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자인de-sign이란 특정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기호를 재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디자이너는 메시지를 가다듬고, 더 중요한 메시지와 그렇지 않은 메시지를 분류한 후- 중요한 메시지가 사람들의 시선에 제일 먼저 닿도록 설계한다. 그러니 당연히 보기 좋은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제품이 하나 놓였을 때, 혹은 비슷한 제품들 사이에 놓였을 때 등등 모든 상황을 고려하여 어떻게 하면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정확하게, 또 빠르게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한 결과물이다. 때문에 디자이너는 끝없는 고민에 빠진다. 여기를 조금만 줄이면 심미적으로 더 아름답지만, 꼭 들어가야 하는 메시지의 글자 수를 줄일 수 없어 심미적으로 완성된 형태를 우회하기도 한다. 대중들의 시각에 낯섦이라는 감각을 심기 위해서 보다 낯선 조합을 고민하는가 하면, 익숙한 것에서 한 끗 정도의 차이로 다름을 표현해야 하는 미션을 받기도 한다. 그야말로 정답이 없는 세계다. 주문하는 사람도, 만들어내야 하는 사람도 늘 똑같이 빈 캔버스를 앞에 두고 시작하기 때문에 매 작업이 새롭다.



이 책은 디자인de-sign의 사회적 딜레마를 담았다. 꼭 경험 ux 디자인에 한정되는 주제가 아니라, 철학과 윤리, AI, 게임, 가상현실이나 광고, 마케팅, 심리학, 종교 이야기가 두루 담겼다. 디자인은 결국 서비스를 설계하는 일이고, 이는 곧 철학과 윤리, 마케팅, 심리학 등 전방위적인 사회문화적 요소와 떼려야 뗄 수 없기 때문이다. 예컨대 이런 것. 뷰티앱을 통해 '보정된' 셀피를 찍는 것은 우리 사회에 어떤 메시지를 남길까. 어젯밤 갑작스레 난 뾰루지를 지우는 것을 넘어 조금 더 코를 높이고, 눈을 키우고, 얼굴을 작게 보이게 하는 일은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기는 일은 아닐까. 거울이 아니라 뷰티앱을 통해 '나'를 보고- 그것이 진짜 나라고 믿게 되었을 때, 우리 사회는 괜찮은 걸까?



혹은 AI 챗봇 서비스는? 그것이 AI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우리는 AI와의 대화에 쉽게 몰입하고 마는데- 기술이 보다 정교해지고 나면 우리 사회는 AI로 인해 뿌리째 흔들리지는 않으려나. 오늘도 수차례 빠져나오지 못했던 알고리즘과 상세 페이지의 메시지들은? 구독하기는 쉬워도 해지하기는 어려운 프로그램 디자인이나, 뭔가 계속 손해 보는 것 같은 팝업창의 메시지까지- 우리는 설계된 디자인 속에서 그것이 마치 우리의 결정이었던 양 살아간다.



책은 이러한 질문들 속에서 '목표' 너머에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디자인의 목표는 분명하고, 그것을 성취하는 것이 직업인으로서의 디자이너가 해야 할 일이다. 하지만 그 너머의 '사람'을 보는 디자이너라면 적어도 어떤 디자인으로 인해 사람들이 슬퍼하거나 불편해하는 것을 읽어야 하는 것 아니겠냐고 묻는다. 그것은 디자인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기도 하다. 그러니 다시 묻는다. 이 질문은 디자이너에게만 유효한 것이 아니다. 하려고 하는 그 일의 방향이 '우리 모두'에게 좋은 일인가? 그렇지 않다면 누가 소외되어 있는가. 그들에게도 '좋은' 일이려면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 질문만이 우리의 딜레마를 풀 수 있는 열쇠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