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들 - 돈과 기름의 땅, 오일샌드에서 보낸 2년
케이트 비턴 지음, 김희진 옮김 / 김영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재미있는 그래픽노블 참 많다. 지난해, <모비 딕>을 그래픽노블로 읽었고, 올 초에는 카프카의 <실종자>도 그래픽노블로 만났다. 두 책 모두 고전소설을 기반으로 다시 쓴 그래픽노블이었다. 이번에 만난 <오리들>은 창작(?) 장편 그래픽노블이다. 저자는 캐나다 출신의 베스트셀러 만화가인데, 그가 만화가로 명성을 얻기 직전 캐나다 서부 석유 매장지 앨버타의 오일샌드 채굴 현장에서 보낸 2년간의 경험을 담은 회고록이다.

캐나다 동부의 해변 마을에서 자란 케이트는 고향에서 일자리를 구할 수 없게 되자 ‘돈이 흘러넘치는 곳’이라는 소문이 자자한 서부의 오일샌드 광산으로 떠난다. 목표는 단 한 가지, 학자금 대출을 갚아버리고 원하는 삶을 살겠다는 것. 그렇게 그녀는 오일샌드 광산에서 2년이라는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녀는 무엇을 겪게 될까?

작가는 오일샌드에서의 시간이 십여 년쯤 지난 후에야 이 책 <오리들>을 쓸 수 있었다. 여기에는 앨버타의 장엄한 자연을 배경으로 석유 산업이 펼쳐놓은 거대한 기계 설비와 그 속에서 하루하루 간신히 버텨가는 노동자들이 있다. 여성보다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지리적으로 고립된 작은 사회 안에서 젊은 여성이었던 주인공 케이트는 너무 쉽게 희롱의 대상이 된다. 지루함과 고립감, 외로움, 우울감 속에서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못한 채 그저 버텨야 했던 이들은 자기들만의 작은 사회 안에서 세상의 단순한 규칙들을 으깨어버린다. (남성이 여성보다 수적으로 50 대 1까지 우세할 때, 젠더 폭력은 일어난다. 이는 멀쩡한 사람이 얼마나 있었냐는 것과는 상관없는 일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하는 ‘일’은 석유를 캐는 것. 당연하게도 오일샌드는 공해를 낳고, 점점 늘어나는 정착민 인구는 그 지역의 원주민 공동체에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또 건강상으로도 악영향을 끼친다. 단지 ‘돈’이 많이 ‘도는’ 곳이라고 해서, 학자금 대출을 빨리 갚아버리려고 오일샌드에 왔던 케이트가 당장에 오일샌드의 사회적 문제를 보기는 어려웠겠지만- 그것은 끝내 그들 앞에 오리들로, 검은 물로 모습을 내비친다.

오일샌드에서의 2년은 그녀에게 무엇을 남겼을까. 생각보다 많은 대가를 치러야 했지만, 그녀는 목표했던 학자금 대출 갚기에 성공했다. 끔찍한 순간도 많았지만, 그럭저럭 지낼만할 때도 있었다. 저자가 그런 날, 그러니까 ‘그럭저럭 지낼만할 때’도 이 이야기에 담아주어 좋았다. 끝내 이 이야기를 세상에 해 준 것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