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선이 된 문장가, 최치원 - 최치원전 ㅣ 처음부터 제대로 우리 고전 4
김경희 지음, 하민석 그림 / 키위북스(어린이) / 2022년 10월
평점 :
0. 아이와 재미있게 읽었던 키위북스의 ‘처음부터 제대로 우리 고전’ 시리즈의 신간이 나왔다. 이번엔 ‘최치원’의 이야기. 최치원이라니, 이름은 많이 들어봤는데- 통일신라 시대의 인물이었던가, 그가 뭘 했었지? 하고 뒤적여보니 <계원필경>을 쓴 사람이란다. 아, 계원필경이라면 들어봤지! 그런데 그게, 무슨 이야기를 담은 책이었더라?

1. <최치원전>은 통일신라 시대에 살았던 실존 인물을 주인공으로 지은 소설이다. 역사 속 최치원 역시 <최치원전>속의 그처럼 당나라로 건너가 과거 시험에 합격하고, 황소의 난이 일어났을 때 격문을 지었으며 나중에는 가야산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하지만 이외의 부분에서는 실제와는 달리 ‘이야기’로 쓰였다고. 그도 그럴 것이 후기 통일신라 시기에 살았던 최치원이 어떤 유년기를 보냈는지에 대해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기 어려웠을 것이고, 남아있는 기록이란 열두 살이 되던 해인 868년에 홀로 당나라로 유학을 갔다, 거기서 장원으로 급제한 일이 있다-정도일 텐데 이러한 사실들은 오늘의 우리로 하여금 많은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당대로서는 정말이지 흔치 않았던 해외 유학생이었고, 그곳에서도 작지 않은 성공을 거두고 국내로 돌아왔으니 그의 행보에 많은 관심이 쏠린 것은 당연할 터. 호기심과 시기심, 또 알게 모르게 있었을 텃새에 밀려 결국 그는 이것저것 국내 정치를 위해 시도해 보다 가야산으로 들어가고 만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2. 실제 <최치원전> 원문은 어떤지 모르나, 이 책은 초등 저학년 정도의 아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재구성되었기 때문에 이야기는 쉬우면서도 흥미진진하게 흘러간다. 외로운 천재였던 최치원이 홀로 강자와 어떻게 맞서 싸웠는지, 또 그 싸움에서 어떻게 이겼는지 읽어냄으로써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이야기 속 최치원의 유년기가 얼마나 기구한지. 그럼에도 이 아이는 또 얼마나 당당한지!)
“너의 용기가 참으로 가상하구나. 아직 나이가 어린데 당나라에 가서 잘 할 수 있겠느냐?”
“그렇사옵니다. 만약 나이가 많아야 큰일을 할 수 있다면 우리나라의 나이 많은 사람들은 왜 돌함 속의 물건을 알아내지 못하고 저 같은 어린아이에게 시를 짓게 하였답니까?”
치원의 대답에 임금이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치원이 다시 말을 이었다.
“제가 비록 나이는 어리지만 나라를 욕되게 하지 않을 것입니다. 통일신라가 당나라보다 크기가 작다고 무시해도 되는 나라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겠습니다. 그러니 임금께서는 아무 염려하지 마시옵소서.”
“오호, 듣던 대로 기개가 대단하구나! 그래, 당나라 황제가 무섭지 않느냐? 황제를 만나면 어떻게 대하겠느냐?”
“하나도 무섭지 않습니다. 어른이 어른다운 행동을 해야 아이 또한 어른을 공경하고 섬길 것입니다. 그런데 당나라는 큰 나라라고 섬김을 받을 생각만 하고 하는 짓은 그렇지 않사옵니다. 돌함 하나 보내고 꼬투리를 잡아 작은 나라를 치려고 했습니다. 당나라가 큰 나라의 도리를 다하지 않고 작은 나라를 대접하지 않는데 어찌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기겠습니까? 저는 이런 뜻으로 황제를 대하겠나이다.”
(‘신선이 된 문장가, 최치원’ 중에서)
그렇게 그는 다사다난했던 자신의 유년기와 가까스로 얻은 아내를 반도에 두고 당나라로 떠난다. 그가 떠난 뱃길은 때로 판타지이기도 했고, 때로는 영웅담이기도 했다. 누구 앞에 서더라도 늘 꼿꼿하고 당당한 자세를 잃지 않았던 최치원의 태도에서 무엇이 그의 어깨를 저리도 당당하게 펼 수 있게 했는지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동시에, 이 책을 함께 읽는 우리 아이도 당당하고 자신감 있게 자기의 생각을 표현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거듭 바랐다.
3. 최치원을 몰랐기에, 아이가 조금 더 크면 최치원의 글을 찾아서 함께 읽어보면 좋겠다고도 생각했다. 책에 중간중간 드러난 그의 문장들은 가히 너무나도 아름다웠다. 특히 최치원의 아내 운영이 이별의 슬픔을 이기지 못해 지은 시는 그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져 마음을 울렸다.
백조는 쌍쌍이 짝을 지어 구름 속을 나부끼고
외로운 돛단배는 가다가다 푸른 하늘에 닿는구나.
이별 술에 노래 곱건만 기쁜 생각 전혀 없고
오랜 세월 등불 앞에 이내 시름 쌓이리라.
밤마다 동방에서 괴로워 말고 시름하지 마요.
꽃처럼 고운 얼굴 상할까 두렵소.
이번에 가면 공명을 마땅히 가져와서
그대와 함께 부귀 누리며 즐겁게 살리라.
4. 앞으로도 기대되는 ‘처음부터 제대로 우리 고전’ 시리즈! 매번 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엄마가 훨씬 더 큰 인사이트를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