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로봇 천 원에 팔아요! - 용돈으로 배우는 경제 이야기 처음부터 제대로 9
김영미 글, 송효정 그림 / 키위북스(어린이)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 관리는 어떻게 하세요? 가계 경제 계획은요?"


지금도 이런 질문을 받으면 마음이 철렁,합니다. 규모 있는 가계 경제를 꾸려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생각처럼 쉽게 안되거든요. (가계부도 제대로 써본 일 없고요. 그냥 필요한 것을 그때그때 사는 방식으로 살림을 하고 있어요) 수입의 규모를 생각해 일정 부분은 저축을 하거나 투자를 하고, 일정 부분은 어떤 목적으로 쓰고. 그런 것들을 계획하고 지켜내는 게 저에게는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어렵다고 해서 마냥 피할 수는 없지요. 가계부를 꼼꼼하게 작성하는 것은 앞으로도 (아마) 어렵겠지만, 나름대로의 방법을 찾아 경제 계획을 세우는 일은 꼭 필요해 보입니다.


​오늘 소개할 책 <내 로봇 천 원에 팔아요!>는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경제'와 관련한 이야기입니다. 주인공 찬이는 엄마의 심부름으로 두부를 사 오게 되는데요. 그 과정에서 '직거래'라든지, '시장'의 개념이라든지 하는 것을 알게 되어요. '오늘은 엄마를 따라가서 어떤 맛있는 군것질을 할까?'가 아니라, '시장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지?', '왜 사람들이 물건을 사고팔까?'하고 생각해 보게 된 거예요.


자연스럽게 교환이나 화폐의 개념도 알게 된 찬이는, 용돈을 벌기 위해 엄마 아빠를 돕겠다고 합니다. 찬이의 엄마 아빠가 참 멋진게, 찬이에게 계약서를 쓰자고 해요. 그리고 어음을 발행합니다. (바로 용돈을 주지 않고, 어음을 발행해 일주일에 한번 돈으로 바꿔주는 게 참 좋아 보이더라고요! 아이가 규모 있게 용돈을 쓰는 법도 알게 될 테니까요) 신난 찬이는 용돈 벌기 계획표까지 작성해가며 열심히 돈을 법니다. 그렇게 첫 주에 만 원을 벌었어요! (오오) 그리고 친구들에게 떡볶이를 '쏩니다!'. (ㅎㅎㅎㅎ) ​


찬이는 왜 사람들이 돈을 버는지, 번 돈은 어떻게 써야 하는지, 돈이 없을 땐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게 됐을 거예요. 그 모든 과정이 살아있는 경제공부였겠고요.

 



대개의 경제 개념을 동물의 숲에서 획득한 일곱 살 채니는 찬이를 보면서 여러 가지를 묻습니다. "나는 동물의 숲에서 잡초를 뽑거나 과일을 따거나, 음식을 만들어서 돈을 버는데. 그렇게 빚도 많이 갚았잖아.", "가게에 가서 드레스를 사거나 가구를 살 수도 있지만, ATM기에서 저금을 할 수도 있었어.", "엄마, 내 저금통에는 얼마가 들어있을까? 그 정도의 돈으로는 뭘 살 수 있어? 캐치티니핑 피규어 살 수 있을까?" ... 아이의 이야기를 듣다 보니, 숫자가 커지고 작아지는 것이 눈으로 보이던 동물의 숲 세계보다 현실 세계의 경제 감각이 뒤떨어져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아무래도 엄마 아빠의 소비생활이 카드나 QR코드로 이루어지다 보니 그런 거겠죠. 마트에서 간식을 사 먹을 때만이라도 의식적으로 아이에게 현금으로 결제를 해보게 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정 금액을 정해두고, 아이에게 일주일 동안 이 돈으로 간식을 사 먹자고 해봐도 좋겠고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