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씽킹 WEALTHINKING (양장) - 부를 창조하는 생각의 뿌리
켈리 최 지음 / 다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품절


의식의 흐름을 따라 쓴 보물지도 가운데 '돈'과 관련한 것은 딱 한 줄, '책 살 돈만 벌고 열심히 놀자'밖에 없다. 여기서의 '책'에는 비단 책뿐만 아니라 책으로 대표되는 문화생활 일체를 망라한 것이기도 하고, 책만 하더라도 적게 사는 편은 아니기에 구체적으로 수치화하지는 않았지만 '책 살 돈'이라는 게 아주 작은 금액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그럼에도 한 달에 얼마를 벌고, 나머지는 놀자! 가 아니라 '책 살 돈'만 벌고 나머지는 놀자라고 쓴 것은 돈에 연연하고 싶지 않아서다. 그것은 돈이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라(이미 쓸 만큼은 있어요, 이런 건 더더욱 아니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늘 '돈 안되는 일'이었고, 그럼에도 그 일들이 내게 좋았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굳이 선택해야 한다면 나는 재미있는 일 쪽을 택하겠다는, 일종의 의지 표현이기도 했다.



그렇게 살아왔다. 충분한 돈이 있다고 생각해 본 적은 없으나- 보고 싶은 영화를 보고, 원하는 공연을 볼 수 있었다. 책도 실컷 봤다. 빌려보기도 하고, 사서 읽기도 하고, 서평단이나 가끔 출판사에서 조건 없이 책을 보내주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도움들을 빌어 한량처럼 살 수 있었다. 원했던 삶이었고, 충분히 좋았다. 이만하면 만족스러우니, 돈을 더 바랄 이유도 없다 싶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며 생각해 보게 됐다. 만약 내게 돈이 많았더라면, 나는 무엇을 '더' 할 수 있었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현실은 우리가 아는 원리, 그러니까 돈이 돈을 벌고, 배경 좋은 사람들이 기회를 잡고, 아무리 열심히 해도 돈과 배경을 이길 수는 없는, 그런 원리로 흘러갈지 모른다. 우리는 자주 그런 서글픈 현실을 목도해왔다. 그래서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우리는 절대 저 높은 곳으로 올라가지 못할 거라 지레짐작하고 포기하는 데 익숙해져 있다. (본문 중에서, 72쪽)



아주 솔직히는 '돈이 많은 사람'이 '높은 곳'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서- 돈이 돈을 번다는, 개인의 재능과 노력이 돈과 배경을 앞서기 힘들다는 현대사회의 경제 논리에는 동의하더라도 굳이 '돈이 많아야 할' 이유를 찾지 못했던 것이다. 해서, 이 책이 던지는 질문에 진지하게 답해보았다. 나에게 부자란 무엇인가, 나에게 돈이란 무엇인가 하고. 나열한 것 가운데 욕망하는 워딩은 없었지만, 부정하는 워딩도 없었다. 내게 돈은 그런 것이었다. 어떤, 도구.



하여, '돈'이라는 도구로 말미암아 더 좋은 것들을 많이 나눌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이 책이 매력적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냥 돈을 많이 벌자, 어떻게 하면 많이 벌 수 있다! 하는 것보다- 돈을 벌어야 할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가운데 '나눔'이 있다는 것이 좋았다. 실로 돈을 버는 일 또한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이뤄내기 힘들다. '나'만을 생각하던 것에서, '너'를 생각하고, 그리하야 내가 가진 것 가운데 '네가 필요한 것'을 아낌없이 나누어 줄 수 있을 때 돈이 필요하고, 돈이 벌린다. 그 묘한 관계의 순환 사이에 돈이 오고 간다는 게 새삼 신선하게 다가왔다. 그러니까 뭐랄까, 이런 게 돈 버는 일이라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달까.



뭔가 돈을 버는 일을 '온라인에서'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왜 그렇게까지? 그냥 나누어 드릴게요, 싶은 마음이었는데- '잘' 벌고, 잘 흘려보내면 그보다 더 좋은 경제활동도 없겠다는 생각이다. 자, 이제 뭘 해볼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