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
로버트 판타노 지음, 노지양 옮김 / 자음과모음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죽음은 어디쯤 와 있을까. 태어났으므로 언젠가 죽음을 맞이한다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그것이 나의 일일 거라는 데까지는 쉬이 가닿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늘-여기의 건강하고 아직은 젊은 내가 '나의 죽음'을 생각하는 일은 굉장히 이성적이고, 조금은 형이상학적일지 모르겠다. 죽음의 실체를 경험하지 않고, 그것을 상상하여 쓰는 것이므로. 하지만 이 책을 읽는 동안만큼은- 정말이지 진지하게 나의 죽음에 대해 생각했다. 언젠가는 나 역시 마주해야 하는 일, 그 언젠가가 어쩌면 오늘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며 이 책을 읽었다.


이 책 <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의 저자 로버트 판타노는 서른다섯의 젊은 소설가였다. 악성 뇌종양을 진단받았던 그는 삶과 죽음에 대한 사색을 일기 형식의 에세이로 기록했다. 이 글들은 그의 노트북에서 발견된 유일하게 저장된 문서였다. 모든 것들의 끝에서 남긴 메모들. 그는 몸을 짓이기는 고통 사이에서 '나'는 누구인지, '나의 삶'이란 무엇인지, 이 세계에서 '나'의 존재란 무엇이었던지를 담담하게 탐구했다. 사실 육체의 고통은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그보다, 삶의 마지막 페이지를 써 내려가며 어떤 문장으로 이 긴 글을 끝맺어야 할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느껴졌다.



사실, 아주 멀리서 본다면 우리 중 누구도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똑같은 관점에서 아주 밀접한 거리에서 보면 우리는 모든 면에서 참으로 중요한 존재다. 모든 사물과 모든 사람은 언젠가는 실체 없는 가상의 물질로 수렴된다. 모든 사람들은 시간이 흐르면 결국 잊히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 90쪽)



내가 악성 뇌종양을 진단받았다면- 나는 연명치료를 원했을까, 병원에 있었을까(아니면 집으로 돌아왔을까), 가족이 나를 돌봐주기를 원했을까(아니면 간병인의 돌봄을 원했을까), 무엇을 좀 더 해보고 싶었을까, 어딘가에 가고 싶었을까, 마지막으로 보게 될 책이나 영화는 무엇일까, 누구를 만나고 싶고, 무엇을 먹고 싶었을까. 혹은 그 모든 것들이 다 의미 없는 것이라 생각되었을까. ... 아주 멀리서 본다면- 어떤 사람이 지금 얼마나 중요하고, 중요했는지, 앞으로 그렇게 될 것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게 누구건 간에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과연 무엇이 중요했던지조차 판단하거나 기약할 수 없는 채로 잊힐 것이다. 우리의 모든 성공과 아름다웠던 순간들은 각자의 처참한 순간들과 함께 사라지게 마련이다. 이 세상의 진짜 끝에서, 우리는 아무것도 쥐고 떠날 수 없다. 물론 슬프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순간이 더욱 빛난다.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람, 따뜻한 커피, 언제고 읽을 수 있는 책, 해야 할 일의 리스트- 그런 것들은 지금 내가 살아있으므로, 오늘의 나를 위한 것이므로 귀하다.



하지만 언젠가 세상의 끝을 마주한다면, 그것들을 놓을 수 있는 용기도 내게 있었으면 좋겠다. 내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일에서건 관계에서건, 물리적인 것에서건)가 무사히 다른 사람으로 대체될 수 있기를. 잊혀도 좋을 만큼 넉넉하게 채워지기를. 그리하여 내가 난 자리가 숭덩한 느낌으로 남지 않았으면 좋겠다. 오늘의 나는 진실한 마음으로 그것을 기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