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만세 소설, 향
오한기 지음 / 작가정신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환상의 동네서점>이라는 에세이를 읽으면서 '상주 작가' 제도에 대해 알게 됐다. 굉장히 흥미로운 제도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소설로 또 한 명의 상주 작가를 만났다. (같은 소재, 확연하게 다른 온도차!) 소설 <인간만세>는 답십리 도서관에 상주 작가로 머무는 주인공 '나'의 이야기다. 실제로 작가가 답십리 도서관에 머무르기도 했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청탁을 받기도 했으니 소설 속 '나'의 이야기는 허구지만 완전한 허구는 아니다. 이야기 속 '나'는 도서관 내에서 진행되는 독서모임을 진행하기도 하고, 강연용 마이크를 분실하면서 '똥!'이라는 환청을 찾아 도서관을 샅샅이 뒤적여보기도 한다. 이런저런 사람들도 많이 만난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단연 상주 작가 선정에 대해 대놓고 시기와 질투의 시선을 보냈던 진진이다. 어쨌거나 이야기는 달려간다. 그런데 도통 어디를 향해 달려가는지는 모르겠다. 나는 어쩌면 이것이 상주작가의 운명 같은 것 아닌가, 하고 짧게 상상했다.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신나게 넘나드는 이 소설은 때때로 일기 같기도 했다가, 에세이 같기도 했다가(일기와 에세이의 범주 역시 모호하긴 하지만), 어느 순간 판타지가 되어버린다. 그 사이를 넘나드는 일이 이 소설 안에서는 아무렇지도 않은 어떤 것처럼 느껴진다. (마치 여기는 중력이 없는 세계 같아) 통통 튄다는 관습적인 표현만으로는 어딘지 한참 부족한 이 이야기는 시작은 있었으나 마치 끝은 없는- 뭔가 어딘가에서(아마도 답십리 도서관에서) 여전히 진행 중일 것 같은 이야기로 툭, 끊긴다.



깔깔거리며 신나게 읽긴 했지만, 사실 나는 판타지를 좋아하지 않는다. (이 모순을 어찌할꼬) 플래그를 붙여둔 부분을 확인해보니 모두 소설의 리얼리즘에 관한 부분이었다. 영화도 소설도 모두 만들어진 이야기라서 좋아하지만, 그렇다고 현실에 발붙이지 못한 이야기는 어쩐지 마음이 가지 않았던 취향 탓이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으면서 깔깔거릴 수 있었던 것은, 책이 보여주는 '현실적인' 부분이 그 어떤 소설보다도 더 진짜 같았기 때문이다. 이야기의 어떤 부분이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을 때, 나머지의 판타지는 판타지로서의 매력을 더 환하게 빛내는 듯했다. (여러 가지 맛이 섞인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의 기분이랄까)



언젠가는 도서관을 놀이터처럼 드나들던 초등학생이었고, 또 언젠가는 아무도 읽지 않을 것 같은 소설만 골라 읽기도 했었던 책덕후는 이 이야기가 아무래도 도서관에서 일어나는 이야기여서, 책을 아끼고 좋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여서 즐거웠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야기 속에서 주인공 '나'가 쓰고 있다고 밝힌 작품들이나, 상주 작가 공모에 떨어진 진진이 썼다는 <홍학이 된 사나이>가 진짜 있는 책이라는 것이(심지어 오한기 작가의 전작이라는 점이) 이야기를 더 맛깔나게 만들어주었던 것 같다는 감상도 곁들이고 싶다. 이 책으로 나는 오한기 작가를 좋아하게 될 것 같다. 그의 전작이자 진진이 쓴 <홍학이 된 사나이>와 주인공 '나'이자 오한기 작가가 쓴 <나는 자급자족한다>도 당장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했으니. (낄낄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