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마리 유키코 지음, 김은모 옮김 / 작가정신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생 시절, 우리 학교에만 있는 백 가지 전설이 있었다. 친하게 지내던 학교 언니들이 그 이야기를 하나씩 들려줄 때마다 어찌나 무섭고, 또 비장해지던지. (그 전설 가운데는 역사적인 인물이나 사건이 등장하는 경우도 많았고, 오랜 전설에 기인한 것도 많았다. 마침 사회 과목에서 역사를 다루기 시작할 무렵인지라, 언니들이 이야기해주는 어설픈 전설도 몇 마디 들어본 말에 기대어 다 믿어버렸었다는. 물론, 그 전설은 우리 학교에만 있는 게 아니라, 이웃 학교에도, 저-멀리 있던 동네의 학교에도 전해 내려오던 전설이었지만;ㅁ;...) 이야기들은 모두 하교하고 난 어둑한 학교라는 공간과, 언니들의 낮은 목소리로 오랫동안 심장을 뛰게 했더랬다. 그때를 다시 떠올리게 될 줄은 몰랐는데, 이 소설 <이사>를 읽는 동안 그때와 비슷한 기분을 느꼈다.

소설은 '이사'와 관련한 여섯 가지 도시괴담들을 소개하고 있다. 하나씩 떼어놓고 보면, 어쩐지 으스스 해지기는 하지만 그다지 무섭지는 않은(이제 나는 어른이니까!) 흥미로운 읽을거리쯤 되겠다. 이사를 앞두고 짐을 싸던 중에 오랫동안 보관만 되어 있던 짐들 사이에서 어떤 기억을 마주하게 된다거나, 이사 갈 집을 알아보던 중에 전에 살던 사람의 어떤 흔적을 마주하게 되는 것은 흔히 겪을 수 있는 일이다. 회사에서도 비슷한 일은 일어난다. 학교라는 공간이 낮에는 왁자지껄, 한없이 밝은 공간이지만- 밤에는 완전히 새로운 얼굴을 하듯, 회사라는 공간도 모두가 퇴근한 밤이면 왠지 서늘한 기운이 감돈다. 누군가 썼던 책상, 누군가의 짐이 자꾸 내게로 온다고 생각하면 그 역시 으스스 한 일이다. 내게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내게도 익숙한 공간에서 일어난 일. 여기 실린 이야기들은 집이나 회사같이 가장 일상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강력한 호소력을 지닌다.

하지만 진짜 하이라이트는 여섯 개의 이야기가 끝나고 난 뒤. 평소라면 무심코 넘겨버렸을지도 모를 '작품 해설'을 읽다가 몸이 파르르 떨렸다. 어쩌면 이 모든 이야기들은 '작품 해설'을 위해 쓰여진 것일지도, 우리는 '작품 해설'을 읽기 위해 페이지를 넘겨온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작가의 어마어마한 장치였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마지막 이야기까지 읽으며, 도시괴담은 역시 괴담일 뿐이라지만- 하수구 악어가 크기는 작았으나 실존했다는 이야기처럼 종종 진실이 섞인 경우도 있을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생각하니 내 앞에 놓인 벽이 두려워진다. 저 벽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지 나는 전혀 모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