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버그 - 보이지 않는 적과의 전쟁
맷 매카시 지음, 김미정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50년, 3초에 1명의 인류가 슈퍼버그로 사망할 수 있다!

띠지에 적힌 문장을 읽고도 사실 슈퍼버그가 두렵지 않았다. 더 두려운 것은 당장 나의 세계를 덮친 코로나19였다.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신종 바이러스에 전 세계가 동시에 패닉에 빠졌다. 가늠도 잘되지 않는 엄청난 수의 감염자와 사망자는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고만 있다. 한국의 상황은 안정세에 접어들었다지만, 여전히 코로나19는 우리의 일상을 강하게 제약하고 있다.

그러나 (알고 보니) 슈퍼버그는 코로나19보다 훨씬 더 많은 사망자를 낳는 미생물이었다. 세계 보건기구는 항생제 내성균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으로 생기는 '슈퍼버그'로 인해 매년 70만 명이 사망하고 2050년에는 전 세계 인구 중 1,000만 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니까 슈퍼버그란 기존의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신종 박테리아. 오늘날 사용되는 항생제가 대개 70년대를 전후하여 개발된 것임을 감안하면, 이를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 <슈퍼버그>는 인류의 진보와 함께 이어져온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 역사와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최초의 항생제였던 페니실린, 항진균제 니스타틴, 항생제 반코마이신, 그리고 책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신약인 달바반신에 이르기까지- 책은 한 권의 의학 소설처럼, 우리 손을 이끌고 실험실로 들어간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박테리아를 연구하고, 그것이 어떤 변이를 어떻게, 왜 일으키는지 계속해서 묻는다. 그 질문들의 끝에는 '정답'이 아니라 몇몇이 동의할법한 '가정'이 있다. 아무것도 완전하지 않은 가운데, 박테리아는 계속해서 변이하고, 더 빠른 속도로 번져 나간다.

보이는 위험과 보이지 않는 위험이 주위에서 소용돌이치는 가운데 모든 것이 혼돈에 빠졌다. 책 속에서 그들이 낯선 박테리아 한 종류에 자원을 쏟아붓는 동안, 책 바깥세상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세계 질서가 흔들렸다. 현대 과학(의학) 기술이라면 못 할 일이 전혀 없을 것 같았지만, 여전히 코로나19의 치료제는 개발되지 못했다. (최근 며칠 사이 임상시험 소식이 들려왔다) 책 속 세계는 어쩌면 그보다 좀 더 심각했다.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는 일은 기업의 이윤추구에 역행하는 일이라며 번번이 거절되고 만 것이다. 요즘 같아서는- 2050년이 아니라, 당장 새로운 박테리아가 세계를 점령해도 이상하지 않을 것만 같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이도, 슈퍼버그에 고통받는 이도 모두 평범한 우리 이웃이다. 그 말인즉슨- 우리도 당장 코로나19에, 슈퍼버그에 감염될지 모른다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책은 얼마간 영웅담 같기도 했다. 의료계에서 의지를 다져 슈퍼버그를 잡을 치료제를 찾듯이- 우리는 뉴 노멀 new normal을 향해서 주위를 정돈해나갈 필요가 있겠다. 무엇보다 내부로부터의 위험을 무시하며 엉뚱한 방향을 보지 말 것. 가장 중요한 것은, (언제나 그렇듯) 우리 안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