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무민 가족과 큰 홍수 - 무민 골짜기, 시작하는 이야기 ㅣ 토베 얀손 무민 연작소설
토베 얀손 지음, 이유진 옮김 / 작가정신 / 2020년 4월
평점 :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었던 1939년 겨울이었습니다. 그림을 그린다는 게 아무 쓸모 없는 일로 느껴졌고,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갑자기 "옛날 옛적에"로 시작하는 글을 쓰고 싶어진 건 당연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그에 이어지는 이야기는 동화여야만 했지요. (서문 중에서, 4쪽)
평온하고 아름답게만 보이는 무민의 세계는 제2차 세계 대전의 한 가운데에서 시작됐다. 전쟁은 언제 끝날지 몰랐고, 매일 겪어도 전쟁의 고통은 일상이 되지 못했다. 수많은 가족들이 흩어졌고, 다시 만날 날을 속절없이 기약하며 피난길에 올랐다. 이 책 <작은 무민 가족과 큰 홍수>는 그런 시대적 아픔을 고스란히 안고 있다.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할 만큼 잔혹했던 세계 대전의 민간인 희생, 그로 인한 피난이 이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다.
무민의 엄마는 (세계 대전의 피난민처럼) 갖은 위험을 무릅쓰고 어린 아들과 함께 무민의 아빠를 찾아 나선다. 그 과정에서 너무 달거나 너무 썼던 위협들을 만나고, 그럴 때마다 예상치 못했던 도움을 받으며 꿋꿋하게 앞으로 나아간다. (아무리 아름답게 그려졌다 해도)(상상해보면) 쉽지 않은 과정인데, 그 안에 고됨보다는 온정과 사랑이 더 커 보인다. 그래서인지 무민 가족은 그들을 향해 뻗은 손을 큰 의심 없이 잡고, 어려운 이웃을 만나면 서슴없이 가진 모든 것을 내놓기도 한다. 주고받은 선행은 마치 기적처럼 무민의 아빠를 만나게 했고, 그가 가족을 위해 지은 튼튼하고 아름다운 집으로 닿게 했다. 100쪽이 채 안 되는 이 짧은 이야기는, 그렇게 뜨겁게- 끝났다.
'큰' 홍수는 사실 어마어마하게 무서웠다. '작은' 무민 가족은 어쩔 수 없이 헤어져야 했고, 튼튼하게 지었던 집도 떠내려 보내야만 했다. 하지만 개인이 어찌할 수 없는 어려움 앞에서 그들은 무릎 꿇지 않았다. 연대했고, 그래서 살아남았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모두가 어려운 요즘, 우리의 모습이 오버랩되지 않을 수 없었다. 무민 가족이 만나는 다양한 인물들은 모두 제각각이었지만, 연대할 준비가 되어있었다. 서로 돕고 나누는 사이에 홍수는 지나가고, 햇볕이 내리쬐었다. 우리에게도 그 순간이 올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