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니스 - 잠재력을 깨우는 단 하나의 열쇠
라이언 홀리데이 지음, 김보람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낮잠 시간, 설거지도 쌓여있고 오전에 했던 물감놀이도 아직 다 정리하지 못했지만- 잠시 그대로 두고 서재로 들어와 문을 닫았다. 동화를 들려주는 오디오 클립도, 장난감 소리도, 아이의 재잘거림도 없는 고요한 시간. 이 시간을 청소와 설거지로 보낼 수는 없다. 뜨거운 커피를 천천히 마시며 책을 읽었다. 하필 집어 든 책도 '고요'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 책 <스틸니스>는 우리에게 '고요'가 왜 중요한지,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것에 이르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여러 사례를 통해 역설하고 있다. 삶의 고요한 순간이 오늘을 사는 데 어떤 에너지가 되는지 잘 알고 있는 저자는 우리 모두가 자기만의 고요를 찾아내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었다. 그 마음이 읽는 내내 그대로 전해져와 좋았다.

인류의 모든 문제는 홀로 방 안에 조용히 앉아 있지 못하는 무능함에서 유래한다.

1654년,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 블레즈 파스칼(본문 중에서, 20쪽)

우리의 삶은 바쁘게 흘러간다. 확인해야 할 정보는 시시각각 쏟아지고, 조금만 느긋하게 굴면 확인해야 할 메일, 메시지들이 눈덩이처럼 쌓여 우리를 짓누른다. 하루 종일 집에만 있다고 해서 이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알람은 우리 손안에서 계속해서 울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시달리고 있는 문제의 규모와 절박함은 현대의 것이지만, 사실 그 뿌리는 시대를 초월한다. 실제로 역사를 돌아보면 우리 내면의 혼란을 가라앉히고 잠재우는 힘, 느긋한 마음을 갖는 힘, 우리의 감정을 이해하는 힘, 그리고 우리의 신체를 지배하는 힘을 기르는 일은 시대를 가리지 않고 언제나 극도로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스칼의 문장을 다시 읽는다. '고요'란 무엇일까. 우리 각자에게 '고요'란 무엇일까.

최근 몇 달 동안, 오전 6시 15분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한다. 남편은 이미 출근한 시간이라, 아이가 깨기 전까지 모든 공간이 고요하다. 간단한 스트레칭을 하고, 커피를 마시면서 책도 읽고 글도 쓰며 시간을 보낸다.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다른 무언가를 해야만 할 것 같은(밀린 업무를 한다거나, 메일을 확인해야 할 것 같은;ㅁ;) 심리적 압박에서 벗어난 시간은 소중하다. 평소에는 전혀 들리지 않던 아주 작은 소음들(냉장고라던가, 정수기가 돌아가는)만이 이 공간이 진공상태가 아님을 알려준다. 이때, 시간은 정말이지 천천히 흐른다. 그리고 이 시간이 나를 살리고 있다는 것을, 최근에야 깨닫고 있다. (코로나는 내게 많은 것을 깨닫게 한다 u_u)

그러니 내내 동의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는 모두 '자기 안의 고요'가 필요하다. 그것은 내 삶의 주인이 되는 거의 유일한 길이며, (꼭 그렇게 거창한 이유를 갖다 대지 않더라도) 복잡하고 어지러운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아니, 그보다도 일상의 분주함을 이런 식으로라도 저지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모두 미쳐버릴지도 모를 일이다) 어떤 면에서 '자기 안의 고요'를 찾는 일은 나를 갈고닦는 일. 케이지의 <4분 33초>를 감상하면서, 무위를- 나의 고요를 다시 다듬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