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늦가을 무민 골짜기 ㅣ 토베 얀손 무민 연작소설 8
토베 얀손 지음, 최정근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4월
평점 :
토베 얀손의 무민 연작소설 <늦가을 무민 골짜기>를 받아들고 여러 번 흠칫 놀랐다. 첫 번째는 그저 아동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인 줄로만 알았던 무민이 연작 소설의(그것도 무려 8권씩이나 되는!) 주인공이라는 점, 두 번째는 무민이 하마가 아니라는 점(두둥!), 세 번째는 이제부터 읽어야지! 했던 무민의 소설에 무민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맞다. 무민 연작소설의 마지막 권인 <늦가을 무민 골짜기>에는 무민 가족이 등장하지 않는다. 무민 가족은 이미 외딴 등대섬으로 떠나버렸고, 그 자리는 무민 가족을 그리워하는 이들로 채워진다. 자신이 잊어버린 다섯 음계를 찾아 돌아온 스너프킨, 모험을 꿈꾸지만 쉽게 떠나지 못하는 헤물렌, 머리카락을 양파 모양으로 묶어 올린 밈블, 뱃머리에 몰래 숨어 살던 토프트, 결벽증과 불안 증세에 시달리는 필리용크 그리고 그럼블 할아버지. 생각지도 못한(솔직히는 이름도 처음 들어본) 여섯 캐릭터의 조합은 무민을 향한 애정과 그리움으로 자연스레 한데 녹아든다.
그들은 무민 가족을 그리워했다. 골짜기를 내려다보며 무민 파파와 같이 마시던 모닝커피도, 무민 마마의 다정한 잔소리도, 무민의 동글동글한 웃음도 이제 더는 골짜기에 없었다. 그 헛헛함이 두꺼운 먼지가 되어 골짜기를 감쌌다. 한동안은 그랬다. 무민 파파가 있었더라면, 무민 마마였더라면- 하는 생각들은 무민 골짜기의 가을을 더욱 쓸쓸하게 만들어주었다. 하지만 가을이 조용히 겨울을 향해 가는 시간은 나쁘다고만은 할 수 없었다. 겨울을 맞이하는 시간은 자신을 지키고 보호하는 시간이자, 필요한 무엇이든 창고에 가득 채워 넣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가지고 있는 소중한 것들을 모두 모아 가까이에 두고 지켜내는 것. 그 시간들 사이에서 따뜻함이라는 모닥불이 몽글하게 피어올랐다.
무민 가족을 그리워하던 그들은, 어느새 그들끼리의 톱니바퀴를 맞춰나가고 있었다. 무민 가족이 없어도 그들은 충분히 조화로워 보였다. 어딘지 모르게 부족해 보이는 서로의 모습은 외려 위로가, 또 용기가 되어 주기도 했다. (헤물렌과 같이 항해를 떠나준 스너프킨, 고마워!)
어딘가에 숨어 있는 무민 가족을 찾아서 집으로 돌아오게 만들기란 어렵지 않은 일인지도 몰라. 섬은 지도에 다 나와 있으니까. 거룻배는 물이 새지 않게 구멍을 막으면 되고.
하지만 왜? 그냥 내버려 두자. 무민 가족들도 외따로 떨어져 있고 싶을지도 모르니까. (본문 중에서, 132쪽)
무민 가족은 골짜기로 돌아오고 있을까.
돌아오고 있다면, 돌아오는 것으로- 돌아오고 있지 않다면 그냥 그대로도 괜찮을 것 같았다.
언제나 그래 왔듯이 머무르는 이와 떠나는 이가 있게 마련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