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랑콜리 해피엔딩
강화길 외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로라하는 29명의 작가가 한데 모였다. 故 박완서 선생님을 뵈러 가는 길이다. 그들의 손에 하얀 국화 대신 이야기 하나씩이 들렸다. 선생님 앞에 드릴, 아마도 다들 오래 고민해서 썼을 이야기들이었다. 예쁘게 포장된 꽃다발처럼 마알간 그것을 나는 저만치 뒤에서 받아들어 읽었다. '사람답게 살아야지'했던 고인의 말씀이 귓가에 울리는 것 같았다. 책에는 그 마음이 그대로 담겼다. 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또 즐거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었다. 그러다 문득,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사람답게 살고 있는가?'하는 질문이 쏟아져 책장을 넘기던 손을 툭, 떨어트리고 만다.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왜,

라고 질문하다가 책을 덮었다. 눈을 뜨면 당연하게 주어지는 또 하루의 시간을 나는 당연한 일들을 하며 보냈다. 그러다가 '어? 이건 좀 생경한데?'싶은 순간과 마주하면 돌아보게 되는 것이다. 내가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던지. 나의 오늘은 과연 '어제의 내가 생각한 내일'이 맞는 건지.

이 책 <멜랑콜리 해피엔딩>에는 그런 순간들이 잔뜩 담겼다. 아마도 글쓴이들 모두가 '사람답게 사는 것은 무엇인가, 나의 '사람다움'은 무엇인가?'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술술 읽혔다고 생각했는데, 풉,하고 웃었던 적도 한두 번이 아니었는데- 책을 덮고 보니 너무나도 많은 페이지들이 접혀있었던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이상하게도 그 점이 위로가 됐다. 벌써 서른네 해째 살고 있지만, 여전히 나의 내일을 예측할 수 없는 '삶의 불투명함'에 대하여- 그렇게 다들 살아가는 거라고, 그게 성장하고 있는 거라고 이야기해주는 것 같았다.

지혈제. 이런 독서는 지혈제다. 상처와 고통으로부터 내면을 떼어놓고, 자신을 분리시키기 위한 수작이라는 것을 의식하면서 그녀는 책장을 넘긴다.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흥미로운 개념 한두 개가 천천히 뇌 속에 들어와 눈물을 말리기 시작한다. 두꺼운 책들이 불어오는 감정들. 지식이 아닌 감정들.

<멜랑콜리 해피엔딩> 수록작, 김성중의 '등신, 안심'중에서

뭘 읽고 있냐고 남편이 묻기에 소설집이라고 답해줬다. 어떤 이야기가 가장 좋으냐고 되묻기에, 잠시 얼버무렸다. 이 이야기는 이래서 좋고, 저 이야기는 저래서 좋았다. 우리 삶의 모양이 둥그렇든 동그랗든 그 각자의 고유함이 있어 아름답듯 이 이야기들의 모양새들이 그랬다. 개인적으로는 윤이형의 '여성의 신비'가 오래 남았지만, 남편에게는 백가흠의 '저는, 오마르입니다'를 펼쳐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