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熱河日記, 그 문학의 근대성 - 18세기 사상적 변화와 박지원의 문학이 갖는 근대성
이선웅 지음 / 지식과감성# / 2018년 1월
평점 :
품절
연암 박지원은 실학사상이 고조되던 시기에 양반으로 태어났다. 원한다면 관료로 일할 수도 있었으나, 굳이 그 길을 마다하고 선비로서의 삶을 택한 것은 그가 조선 양반사회의 비리를 통한 부의 축적과 온갖 부정을 저지르는 양반사회에 대해 염증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저 책 읽는 자로 살았던 그는 마흔넷에 이르러 청나라를 여행할 기회를 얻어 <열하일기>를 집필하게 된다.
<열하일기>, 과연 그 안에는 무엇이 담겨있을까?
대체 무엇이 적혔기에 읽은 이들 모두가 예찬하고 나선 것일까?
이 책 <열하일기, 그 문학의 근대성>은 저자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쓴 것을 재편집한 것이다. 해서 그 목차가 좀 이상해 보인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는 <열하일기>의 근대성 분석에 관한 것이고, 2부는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3부는 서론, 4부는 결론으로 이루어졌다. 순서를 흩트려놓았지만, 그의 박사학위 논문이 어떻게 구성되었을지 짐작이 간다. 어쨌거나 중요한 부분을 앞에 두었다. 160 페이지에 달하는 1부 '<열하일기> 근대성 분석'에는 <열하일기>의 문학적 성격과 그 속에 드러나는 조선사회에 대한 시각, 종교 문제, 중국인식과 국제정치사상, 서지적 문제 등 다양한 관점들이 등장하여 흥미를 자극한다. 실로 <열하일기>는 조선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비판과 개혁을 논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박지원의 문학은 그 시대에서 뜻하는 바가 무척 크다고 하겠다. (물론 그 시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자료로서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