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7
조지 오웰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은 1Q84를 읽고싶었는데,
하루키 작가가  이 책에서 모티브를 얻어 1Q84를 썼다는 말을 듣고
이 책을 먼저 읽기로 했다.

 
빅 브라더, 텔레스크린, 이중사고, 이 분간 증오, 당원, 표정죄, 기억통,신어, 사상경찰 -
생소한 소재들이 끊임없이 나와서 중간부분까진 집중해서 읽게됐다.

 

얼굴도 본적없는, 실제 존재하는 지도 모르는
빅 브라더의 지배하에 움직이는 사람들,
날조되는 기억, 과거, 현재,
한 개인의 지극히 사소한 생각도, 표정조차도 인정되지 않는
심지어는 가족끼리조차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고 당에 밀고하는
그 시대,
그 곳에서
자신의 현재의 삶과 자신의 신념사이에 고민하는 윈스턴..

그가 과연 어떤 선택을 하게될지,
정말 형제단이 있는건지 어쩐건지..
결말이 궁금해서 지루한 부분도 감수하고 계속읽었는데
결말이 좀 허무했다.

 

작가는 절대 권력을 움켜쥐고 
모든 일을 좌지우지하는 빅브라더 앞에
한없이 작아지고
가혹한 고문에 세뇌되고
끝내는 굴복할 수 밖에 없는
너무나 나약한 인간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며
영웅이야기와 해피앤엔딩에 익숙해있는 나에게 일침을 가하는 듯 했다.

그래서 읽고나서 조금 찜찜한 마음이 들었던  책이다... 

 

어떤 경우에서든 무엇이 올바른 신념이며 무엇이 바람직한 감정인지 생각하지 않고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렸을 때부터 '좌중단'이니 '흑백'이니, '이중사고'니 하는 신어들로 분류되는 면밀한 정신 훈련을 받은 까닭에

무슨 문제든 깊이 생각할 의욕도, 능력도 사라져버린다.

'이중사고'란 한 사람이 두 가지 상반된 시념을 동시에 가지며,

그 두 가지 신념을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당의 지식층은 현실을 농락하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이중사고'의 훈련에 의해서 현실은 침해받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만족해한다.

 

진정으로 중요한 사건이나 그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실들은 그들의 관심 밖이었다.

그들은 큰 것은 못 보고 작은 것만 볼 줄 아는 개미와 같았다.

그렇기 때문에 점점 기억은 상실되고 기록은 날조되어 가는데도

인민들의 생활이 개선되었다는 당의 주장이 사실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었다.

- 1984 본문 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