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일본 소설 붐,

얼마전에 일본 소설 붐에 대해 누군가 글 쓴 것을 보았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일본의 문화를 여과없이 받아들이는 것, 게다가 열광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가득 담은 글,

한국작가의 분발이 필요하다는 얘기. 한국작가의 글은 무겁고, 분단의 아픔 등 과거로의 회상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이 한계라는 얘기.

사실 그렇다. 그 글의 문맥이 이게 다였을까라는 생각도 들지만 내가 기억하기론,,

일본의 문학 위주의, 혹은 흥미 위주의 책은 읽기 편하다.

아사다 지로의 창궁의 묘성같은 일본놈들이란 욕이 나오지 않는 책들.

 

한국작가의 글은 무겁다. 그치만, 토지같은 책은 좋다.

박완서아줌마는 왠지 안땡긴다. 구질구질하달까.. 공지영은 심각하다.

책들이 너무 비슷한 양상들을 띈다고나할까..

한국남자들이 쓴 책은 싫다. 어찌나 꽉 막히셨는지 보다보면 짜증만 난다. 소설가는 아니지만 진중권아저씨가 쓴 글은 재미있지만 어찌나 비판적이신지.

 

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리쿠의 밤의 피크닉을 읽고 너무 맘에 들어서 살까하다가 가난한 백수가 무슨, 도서관에서 빌렸다. 여행을 가기 이틀전에 빌려서 이틀을 밤 늦도록 보다 피곤한 상태로 여행을 시작했지..

(낮엔 티비와 함께, 자정이 넘으면 책보기. ㅡㅡ;)

수수께끼의 책을 둘러싼 네가지 이야기.

밤기차타고 여행하는 이야기가 가장 좋았다. 나도 여행중이었으니까.

이야기마다 등장하는 고이즈미 야쿠모, 성이 고이즈미지만, 영원히 여행을 하고 다니는 아저씨. 나도 만나보고싶다.

하여튼 너무너무 재미있어서 영주에 가서 온다의 흑과다의 환상을 사기위해 2시간 가까이 돌아다녔지만 모든 서점에 없었다.

 

밤의 피크닉, 삼월은 붉은 구렁을, 둘다 너무 재미있어서 우열을 가리기 힘들고 다른 책도 읽어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