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겨울
아들린 디외도네 지음, 박경리 옮김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플하고 예쁜 파랑의 표지와 분위기 있는 제목. 무슨 장르의 이야기일까?

사실 책을 펼치기 전까지는 가정폭력과 관련된 이야기일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책 초반부터 끝까지 팽팽한 긴장감과 슬픔을 같이 느낄 수 있는 <여름의 겨울>

가정폭력 속에서 어른이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름 없는 한 소녀의 이야기.

 

 

우리 집에는 방이 네 개 있었다. 내 방, 동생 질의 방, 부모님 방, 그리고 시체들의 방.

 

사냥을 즐기는 폭력적인 아빠, 자신조차 지킬 수 없는 아메바 같은 엄마, 그리고 사랑하는 남동생 질과 주인공 소녀.

무늬만 가족인 그들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아빠의 폭력 속에서 항상 긴장하며 지내야 한다.

여느 때처럼 아이스크림 트럭에서 '꽃의 왈츠' 음악이 울려 퍼졌고, 소녀는 질과 함께 아이스크림을 사러 나갔다.

소녀가 크림을 얹은 아이스크림을 주문하고 기다리는데, 할아버지가 아이스크림 위에 크림을 얹어주기 위해 집중하는 사이 기계가 폭발한다.

 

 

 

얼굴에는 살점과 뼈가 뒤섞여 있고, 그 가운데 하나밖에 남지 않은 눈이 있었다. 나는 그 모습을 분명히 보았다. 그러기에 충분한 시간이었다.

 

 

 

그 사고를 목격한 뒤 질은 많이 달라졌다. '시체의 방'이라고 불리는 아빠의 사냥 전리품이 있는 방에서 넋이 나간 사람처럼 박혀있었고, 소녀는 점점 변해가는 동생 질을 보며 머릿속에 기생충이 자라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변해버린 동생을 되찾기 위해, 아이스크림 할아버지 사고가 발생하기 전 과거로 돌아가기 위한 타임머신을 개발하겠다는 다짐을 한다.

학교에서도 과학 수업에 몰두해서 상급반에 들어가고, 영 교수에게 물리학을 배우며 엄마처럼 인생을 포기하지 않기 위해, 질의 미소를 되찾기 위해 노력한다.

 

 

 

책에서 아빠의 폭력적인 모습이 자주 나왔는데, 아빠가 분노할 때마다 어떤 일이 벌어질까 겁이 나서 나도 긴장되었다. 10대 어린 소녀가 감당하기 어려웠을 극한의 공포에 얼마나 외롭고 힘들었까.

가족이라는 안정적인 울타리도 없고, 의지할 부모가 없으니 동생에게 더 애착을 느꼈지만, 타임머신이라는 현실 가능성 낮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포기하지 않고 열정을 불태우는 모습에 계속해서 소녀를 응원했다.

 

 

만약에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아주 작은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나는 그것을 찾아야만 했다.

질의 웃음을, 그 애의 젖니를, 커다란 녹색 눈을 되찾기 위해서.......

 

 

 

처음 책 제목인 <여름의 겨울>을 접했을 때는 무슨 의미인지 알기 어려웠지만 읽고 나니 충분히 이해가 간다.

폭력적인 내용들에 안타까워서 읽기 힘든 순간도 있었지만, 가독성과 몰입감이 좋아서 계속해서 읽게 되었다.

정말 끝까지 책을 읽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결말도 마음에 들었다.

아빠의 폭력 속에서도 동생의 미소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소녀의 이야기. 계속 토닥토닥해주고 싶던 남매.

여운이 오래갈 것 같은 책이다.

유년시절 가정폭력을 겪은 어른들에게, 현재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위로와 희망의 소설이 되길 바란다.

 

 

삶이란 믹서에 담겨 출렁이는 수프와 같아서, 그 한가운데에서 바닥으로 끌어당기는 칼날에 찢기지 않으려고 애써야한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