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데도 달라지지 않는 이유


무언가를 좋아해서 오랫동안 그 활동을 해왔다고 치자. 배드민턴이나 수영 같은 운동 일수도 있고, 도예나 뜨개질 같은 수공예일 수도 있다. 그런데 몇 년이 지나도 처음 할 때처럼 실력이 제자리이다. 취미라지만 그 활동을 하기 전과 몇 년 후가 다름이 없다면 그 활동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인가? 독서가 그렇다. 신체활동보다 더 성취도를 따지기 어려운 분야라 무조건 많이 읽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몇 백권, 몇 천권의 책을 읽었더라도 남들에게 책 설명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책을 읽었다고 할 수 있을까. ‘서평 글쓰기 특강‘에서는 책을 읽어도 변하지 않는 이유로 질문하기와 쓰기의 부재를 든다. 읽고 나서 토론과 서평같은 활동을 하며 진지하게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생각하고 정리하는 시간을 거쳐야 작품이 하나의 의미로 다가오고, 깨달음을 주고, 삶을 변화시킨다고 한다.



이 책은 두 명의 저자가 장을 번갈아가며 글을 썼다. 저자 김민영과 황선애는 서평 쓰기 커리큘럼으로 오랫동안 강의를 해온 강사이기도 하다. 저자 김민영은 방송작가, 영화평론가, 출판기자를 거쳐 취미로 쓴 서평으로 네이버 파워블로거가 되었고, 서평 모임도 운영하고 있다. 저자 황선애는 독일문학을 전공하고 번역가로 활동하며, 마찬가지로 서평 쓰기 모임을 꾸준히 하고 있다. 두 저자 모두 서평을 쓸 뿐만 아니라 모임과 강의를 운영하며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독자가 어떻게 작가로 변모하는지 지켜보았을 것이다.



‘생각 정리의 기술‘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독서 습관 바꾸기, 독후감에서 서평으로, 비평부터 시작해볼까, 서평 쓰는법, 퇴고 습관‘이라는 다섯개의 장으로 나누어지고, 부록처럼 마지막 장엔 서평가 여섯 명의 인터뷰집을 실었다. 첫번째 장에서는 서평을 왜 써야하는지에 대해서 다룬다. 두번째 장은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에 대한 글이다. 세번째 장은 ‘정확한 이유와 근거를 제시해서 책을 평가하는‘ 비평에 대해서 말하고, 네번째 장은 서평을 쓰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다섯번째 장은 퇴고의 중요성을 힘주어 말한다.



책에선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를 계속해서 들면서 주관적인 글쓰기에서 객관적인 글쓰기로 나아가길 권한다. 독후감은 일기나 에세이에 가깝지만, 서평은 비평에 속하므로 혼자 기록하는 글에서 독자에게 가닿을 수 있는 글을 쓰라는 것이다. 독후감은 내가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부분을 쓰기 때문에 저자의 의도와 핵심을 파악하려는 서평보다 ‘나‘라는 말을 많이 쓰게 된다. ‘나‘라는 말을 줄이고, 객관적인 시야로 글을 쓰는 훈련이 필요하다. ‘나‘를 벗어나기 위해서 작가, 작품, 독자의 반응 등을 공부하라고 한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가장 실질적으로 궁금해 할 장은 서평 쓰는 법일 것이다. 책의 분량에 비해 서평 쓰는 법은 그리 길지 않지만, 핵심만을 담아냈다. 먼저 서평을 쓰는 책은 자기 수준에 맞는 책으로 골라야 서평을 쓸 때도 어렵지 않다. 서평을 쓰는 순서로 발췌, 메모, 개요, 초고, 퇴고를 든다.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은 부분을 옮겨쓰고, 생각을 기록하고 글감을 정리한다. 틀을 정한 후 내용을 요약하고 소개하고 관점을 바탕으로 초고를 쓴다. 퇴고를 하며 마무리한다. 퇴고는 ‘글에 담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좀더 명료하게 만들기 때문에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라 하며 강조한다. 서평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객관적인 정보와 주관적 관점이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는지 유의하며 쓰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독서란 읽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쓰고 생각하며 완성하는 것이라는 걸 자연스럽게 깨닫게 된다. 이 책은 서평 쓰는 법을 알려주는 책이지만 신기하게도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독서 습관을 돌아보게 되는 경험을 할 것이다. 제대로 책을 읽어 왔는지 그동안 놓친 것은 없는지 앞으로 어떻게 책을 읽어야 할 지 같은 질문이 생긴다. ‘독후활동의 핵심은 생각하는 것‘이라는 책의 말처럼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것이 책을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된다. 독서로 인해 내가 변한다는 것은 나의 관점이 명확해져서 더 자신답게 사는 것이다. 그저 다독이라는 목표에만 치우친 독서를 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기회에 자신을 열어두고 싶은 분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