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카프카와 인형의 여행 문지아이들 105
조르디 시에라 이 화브라 지음, 김정하 옮김, 펩 몬세라트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어느 날 아이로 변한 채 

잠에서 깨어난 딱정벌레. 

프란츠를 위하여 

 

라는 첫 장에 반해서 서슴없이 주문한 책이다. 

아, 변신의 작가 프란츠 카프카를 저렇게 정답게 부를 수 있다니. 

첫 문장부터 맘에 쏙 들었다. 

연약하고, 부서지기 쉽고, 섬세한 카프카와의 만남 자체도 설렜지만, 

<구멍에 빠진 아이>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조르디 시에라 이 파브라와의 만남도 

실은 기대되었다. 

어린이 책 치고는 참 어두운 표지였지만, 

프란츠 카프카잖아, 

너무 명랑한 건 어울리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이 책 덕분에 

문지 아이들에 대한 관심이 생겨날 수 있었다. 

 

베를린의 슈테글리츠 공원을 산책하게 되면 

인형을 잃어버려 울고 있는 예쁜 여자 아이를 꼭 만나게 될 것 같다. 

인형 우편배달부 카프카. 

토닥토닥 안아주고 싶었던 건 어쩌면 카프카, 어쩌면 잃어버렸다고 소리내어 엉엉 울 수 있는 아이를 그저 바라보며 마음 한켠 부러워할 수 있는 어른인 나였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 

참 예쁜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몸으로 학교 간 날 꿈공작소 1
타이-마르크 르탄 지음, 이주희 옮김, 벵자맹 쇼 그림 / 아름다운사람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똘레랑스를 이처럼 상큼하게 그려낸 그림책이 또 있을까. 

프랑스식 차이에 대한 배려, 성숙한 시선. 

말로만, 구호로만, 케케묵은 설교로만 읊어지던 메세지가 

예쁜 그림, 밝은 색감과 함께 어우러져 

보는 내내 흐뭇한 미소를 머금게 했다. 

나와 다른 너, 너와 다른 나. 

아이들이 성장해가면서 

아이에게도, 

아이의 친구에게도, 

어느 한 군데  

시선이 고정되지 않도록 

시야가 좁아지지 않도록 

균형감각을 갖출 수 있게 하는 

따뜻하고도 쉽고도 가볍고도 

깊은 울림을 주는 책이다. 

참 예쁘다. 

토닥토닥 안아주고 싶은 앙증맞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 이벤트 높새바람 24
유은실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완전 기대. 유은실 작가님에 대한 신뢰와 기대. 두근대고 설레고 유쾌하고 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자기 유령 스텔라 3 - 결혼식 대소동 보자기 유령 스텔라 3
운니 린델 지음, 손화수 옮김, 프레드릭 스카블란 그림 / 을파소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어른이지만, 

덜 자란 어른이기에,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나의 린드그렌 선생님>,< 멀쩡한 이유정>, <보자기 유령 스텔라>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앉아 껴안아 줄 준비가 되어 있다. 이 넷은 완전 소중한 동화들이다. 

경찰 아저씨를 툭 치면서 "아저씨, 술래!~"라고 호기롭게, 장난 걸 수 있는 천진난만한 악동 삐삐롱스타킹, 어쩜 저렇게 사랑스러울 수 있을까 싶은 이비읍, 오른쪽 왼쪽 헷갈리는, 자기 집도 못찾아가 동생한테 면박 당하고는 머리속에서 사이다 뚜껑이 터지는 것처럼 폭발한 멀쩡한 이유정, 멀쩡한 이유정 안의 또다른 주인공들 할아버지 숙제에 여념이 없는 아이들과 새우가 없는 마을에 살고 있는 쓸쓸하고 소박한 삶을 껴안는 할아버지와 손주, 그리고 장난기 가득하면서 사랑스럽고, 유머러스하면서도 철학적인 유령 스텔라. 

솔직히 <해리포터>에 그다지 열광하지 않아서, 해리포터를 제친 책이라는 광고 문구가 썩 끌리지는 않았다. 드레스 따위 되지 않겠다는 야심찬 스텔라의 다짐이 오히려 더 상큼하고, 발칙해서 들춰보았다. 

1편은 설렘으로, 2편은 그냥그냥(영국편은 개인적으로 쏘쏘, 빤했다고 할까.) 3편은 내가 신이 나서 어쩔줄을 몰랐다. 발레 보기에 재미 들인지 얼마되지 않아서였을까. 누레예프와 민쿠스, 그리고 무엇보다 도스토예프스키를 장막 유령으로 그렇게 재현해낼 수 있다니. 작가의 넉살과 깊이가 경탄스러울 정도였다. 고독을 벗하며 지내는 표도르 유령을 굳이 바꾸려 하지 않고, 케이크를 전해주며 마음으로 챙겨주는 따뜻함. 아저씨는 고독하게 지내는 걸 더 좋아하는지도 모르겠다며 그럼 계속 고독하게 지내시길 바랄게요,라는 진심을 담은 인사. 유머면서도 동시에 진심을 담은 묘한 화법. 그게 스텔라의 힘인지 운니 린델의 힘인지 구분하려는 시도는 이미 무의미해져버렸다. 

시리즈 열 권 중 지금까지 나온 것 중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겨울 궁전의 시적인 풍경을 펼쳐보인 3권, 그리고 시리즈 예고편에 소개된 딸기독이 잔뜩 오르는 스페인 여행 편이 무척이나 기대된다. 스텔라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배낭 한가득 짊어지고 유럽으로 당장 떠나고 싶어진다. 열 가지 진실 중 세 가지를 이미 배웠다. 남은 일곱가지는 무엇일지 기대해보는 것도 흐뭇한 과제처럼 느껴진다. 

그리고 삽화! 역동적인 선과 다채로운 색감의 삽화는 이 책의 소장가치를 높여주었다.  

에잇, 깡통! 같은 날들이어도, 기적은 믿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