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별아이 료마의 시간
신보 히로시 지음, 노인향 옮김 / 지식너머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문어별 아이 료마의 시간

 

 

  아침마다 장애인들이 일터에 출근하는 것을 봅니다. 그 분 중 한 분은 많이 봤던 분입니다. 그 분은 어릴 적 등교 시 엄마 손을 붙잡고 등교하던 장애우였습니다. 어머님은 아들의 손을 꼭 붙들고 같은 시간에 같은 곳을 한결같이 지나갔습니다. 어머님이 안됐다고 생각하면서도 참 대단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부모란 어떤 존재일까? 저는 아직 미혼입니다. 아직 부모가 되어보지도 않았고, 부모가 될 준비도 되지 않았고, 제 부모 밑에서 철없는 자식으로 있습니다. 한동안 장애아에 대한 이야기가 화두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만약 너는 장애를 가진 아이를 낳으면 어떻게 할거야? 어릴 때 아이들은 대개 키우지 못한다였습니다. 키우기에 너무 힘들고 지칠 것만 같다가 이유였습니다. 그 당시 아이들은 모성애나 부성애라는 것에 대해 생각하기보다는 제 자신이 우선이 되어야 했으니까요. 전 어른이 되었지만 아직도 이해하진 못합니다. 전 겪어본 적이 없으니까요.

 

 

  사람에게는 저마다의 인생이 있다.
  웃으면서 사는 인생, 울면서 사는 인생, 화내면서 사는 인생….
  어차피 한 번뿐인 인생이라면 나는 웃으며 살고 싶다.
  언제나처럼 내 옆에서 웃고 있는 너로 인해.

 

  "료마! 어른의 시간에 자꾸 너를 맞추려 했던 거 미안해."

 

  자폐증이라는 병에 대해 잘 알지 못했습니다. 자폐증은 후천적이고, 치료가 가능한 병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자폐증은 3세이전부터 언어 표현-이해, 어머니와의 애착 행동, 사람들과의 놀이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는 양상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는 3세 이후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의 현저한 부족, 반복행동, 놀이행동의 심한 우축,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나타나는 발달 상의 장애이며, 전반적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문어별 아이가 되기도 하고 바위별 아이가 되기도 한 료마 역시 3년 3개월차에 어린이집 선생님으로 부터 발달에 관한 의견을 받고 3년 4개월차에 자폐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맨션 아래층으로부터 편지를 받았을 때 그리고 사과의 편지를 주고 다시 항의를 받게 되었을 때 그 정신적 피로감은 이로 말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누구나 감내할 수 있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저였어도 많이 지쳤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료마 아버지가 그리고 할아버지, 할머니가 대단하시고 또 대단하시다고 생각이 듭니다. 언제나 따뜻하게 품어줄 수 있는 그 마음이 부모가 되면 가질 수 있는 그 무엇인가 싶어서 저 역시 부모가 되면 그럴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사람에게는 저마다의 인생이 있는 것인데, 굳이 다른 사람의 시간에 자기 자신을 맞출 필요는 없는 것이겠지요. 료마! 나는 여기서 너를 응원할게!

 

<끝.>

"료마! 어른의 시간에 자꾸 너를 맞추려 했던 거 미안해."

사람에게는 저마다의 인생이 있다.
웃으면서 사는 인생, 울면서 사는 인생, 화내면서 사는 인생….
어차피 한 번뿐인 인생이라면 나는 웃으며 살고 싶다.
언제나처럼 내 옆에서 웃고 있는 너로 인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