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계획의 힘 -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지금 ‘계획의 힘’을 키워라!
고봉익 외 지음 / TMDbooks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공부계획의 힘
 


  공부계획의 힘.

  공부하니까 어쩐지 시험공부가 제일 먼저 떠오르네요. 평소에 제대로 하지도 않다가 시험기간만 되면 왜이리 청소가 하고 싶은지 주변을 주섬주섬 정리하고 있지요. 그래서인지 일년에 아무리 적어도 몇번씩은 대청소를 깔끔하게 하는 느낌이기도 해요. 청소보다 저는 그런 습관이 있었습니다. 시험기간 하면 몸이 피곤하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무조건 10시에는 취침모드였어요. 그 전에는 자정을 넘어서 자다가 시험기간만 되면 그 시간에 꼭 자야할 것 같은 느낌이 꼭 들었거든요. 지금은 매일매일이 시험기간인 듯한 느낌으로 지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내일도 출근이니까 피곤하면 안 돼. 하면서 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이 저를 괴롭히고 있습니다.

  저는 평소에 강의를 제대로 듣지 않으면 안 되는 타입입니다. 요령을 부릴 수 없는 타입이랄까요. 소위 말하는 벼락치기가 어려운 타입입니다. 그래서 대개 시험기간에는 널널한 편입니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그저 피곤하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일찍 자는 게 가장 큰 변화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개 평소에 강의를 꼬박꼬박 잘 들어야 합니다. 가끔은 벼락치기를 잘 하는 사람들이 부럽기도 하고요. 제가 학생이던 시절 - 초,중,고등학교를 이야기 합니다. - 부모님께서는 제 공부방식에 대해서는 터치를 전혀 안 하셨습니다. 알아서 잘하겠지. 라고 생각해주시는 타입이셨어요. 그게 프리하기도 했지만, 나름 서운하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요즘 공부에 대해 학생들이 참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예전에 비해서 말이죠. 도리어 예전보다 나아갈 수 있는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공부라는 것에서는 벗어나기 힘든, 게다가 요즘 공부환경이 급속도로 좋아진 만큼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언제까지나 외부의 영향만 바랄 수는 없는 법. 그러다보니 자기주도 학습이 중요시되지요. 저자는 그 방식을 이야기해줍니다.   
    

    
  스터디 플래닝!

  플래닝은 바로 계획입니다. 저자가 아야기 하는 방법은 공부뿐만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계획을 어떻게 짜고 실행하고 피드백해주느냐에 따라 우리가 하는 모든 일들의 능률이 달라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플래닝의 핵심 : 목표 ▶ 전략 ▶ 시간 배치 ▶ 실행 ▶ 피드백

  ​이 전략적 계획의 전과정이 바로 플래닝입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전략으 세운 뒤 '장기-중기-단기'로 시간 배치를 하여 실행하고 그것에 대해 피드백하는 것. 바로 이것에 대해 저자는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에 따라서 플랜 하면 우리는 스케쥴링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 점은 명심해야 합니다. 우리가 많이 짜던 동그라미 안의 '일일 계획표'가 기억나시나요? 저는 매일매일 그리고 있는데요. 그저 나열해서 허덕이며 따라가는 스케쥴링이 아닌 '목표'안에 '전략'이 있는 계획을 세워햐 하는 것입니다. 물론 매일매일 못하고 넘어가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되도록 그날의 목표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시간을 분배합려고 합니다. 그리고 저녁 때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다시 고민하죠. 그리고 다음날의 목표를 세웁니다. 이것은 단기적인 계획이겠지요. 중, 장기적 목표를 수립해놓기는 했지만 제대로 계획은 세우지 못한 것 같아요.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고민을 해봐야겠습니다. 목표와 전략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바로 실행과 피드백이 아닐까 싶습니다. 즉시 실행에 옮길 것과 실행한 부분에 대해서 피드백하는 것.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좀처럼 쉽지 않아요. 그렇기 때문에 습관처럼 몸에 익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무엇인가 를 시작하고자 한다면, 이 플래닝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제가 하고 있는 방법과 유사하긴 하지만 조금 더 디테일하게 이야기해주고 있기에 조금 더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성이 있는 것 같아요. 학생들의 공부방법에는 더욱 안성맞춤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