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실 카스트
스즈키 쇼 지음, 혼다 유키 해설, 김희박 옮김 / 베이직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교실 카스트

교실과 카스트제도라. 참 슬프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도의 계급제도를 상징하는 카스트제도. 그것을 교실에 가져오다니. 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단어로 듣지 않았을 뿐 아마 느끼고는 있었을 것이다. 이지메, 왕따라는 개념이 우리에게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었으니 말이다. 요즘이야 좀 더 심해졌다라고 생각할지 몰라도, 이것들은 분명 오래 전부터 존재해왔던 것들이다. 생각해보자. 자기 자신이 당하지 않았기에 떠오르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꼭 반에서 한 명쯤은 이유없이 혹은 어떠한 이유로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가 있었다. 우리는 없었어요. 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있을까? 깊이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그러나 지금 떠오르는 아이들 몇 명은 있다.
교실 카스트란 무엇이고, 왜 존재하는가.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학교도 작은 사회다. 그렇기에 계급은 나뉠 수 밖에 없다. 다 같이 잘 지내면 좋겠지만, 우리는 끼리끼리 노는 것에 -어쩌면 지금이 더 심화된- 익숙하기 때문이다. 굳이 나와 맞지 않는 아이들과 놀 이유가 없다. 나와 어울리는 아이들과 놀면 된다. 가령 예를 들면, 우리가 즐겨본 만화 '꽃보다 남자'와 현재 방영중인 '상속자들'을 들 수 있겠다. 잘 사는 집안의 아이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고 괴롭히는 당하는 중산층 아이들. 여기에서도 계급은 철저하게 분리된다. 이것은 계급을 보여주는 극단적인 예시다. 하지만 단지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계급은 분리되지 않는다. 계급이 분리되는 것은 각각 계급에 따라 특징이 있다는 것을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것은 사람들의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다. 상위층에 속한 아이들의 특징과 하위층에 속한 아이들의 특징에 대해 말이다.

교실카스트의 진정한 세계
위에서 언급했듯이 학교라는 작은 사회에서도 계급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 계급에 대한 인식은 성장하면서 변화한다. 그것은 개인에서 그룹으로 변하면서 특징을 지닌다. 상위층에 속한 아이들의 특징은 대개 활발하고 모든 일에 나서서 하는 타입이다. 소위 말해서 수학여행이나 수련회 때, 주도해서 노는 아이들을 말할 수 있다. 하위층에 속한 아이들의 특징은 대개 촌스럽고 오타쿠적인 성향을 지닌 아이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것의 틀은 명확하지는 않다. 대개 그렇다는 뜻이다. 그러한 계급 간의 지위는 쉽게 변하지 않는다. 전체가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나도 다른 사람 이야기를 하듯이 아이들의 입과 눈과 귀를 통해 정보는 공유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위는 고정된 값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 나뉜 계급은 힘을 갖는다. 반의 분위기나 모든 행사 뿐만 아니라, 심지어 교사까지도 계급에 따라 대우가 다르다는 것이다. 자신의 학창시절을 생각해보자. 안 그러했는가?

교사와 교실 카스트
교사라면 이 교실카스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나는 이 부분이 참 궁금했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답을 듣지못했다. 아마 그것은 교실카스트=이지메의 관계를 아직 정리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저자가 만난 교사들은 하위층에 속한 아이들이 학교를 졸업했을 때 학급 친구와 함께한 추억이 적기 때문에 살아가는데 쓸쓸할 것 같다고 이야기 했고, 상위층에 속한 아이들은 인간 관계를 능숙하게 만들어가는 능력이 높은 인식이 있기 때문에 그들은 적극적으로 인생을 잘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들은 교실 카스트를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일부분은 인정할 수 있을 것 같다. 학급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되기도 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그들은 교실 카스트를 부정할 수 없고, 이미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그들은 이 교실 카스트를 제대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나는 물어보고 싶다.

교실카스트에 대한 논점과 대책
교사들은 교실 카스트는 능력으로 이루어져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틀린 것은 아니다. 상위층 아이들의 특징에서는 적극적이고, 소통능력 및 리더십을 지니고 있는 아이들이 소속되어 있다. 그러나 하위층 아이들의 특징은 대개 수동적이고 조용하다. 교사가 교실 카스트를 보는 능력은 바로 성적으로 매길 수 없는 사회성에 관련된 능력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시스템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지메는 바로 이 계급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분명 이 시스템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론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가령 교육시스템의 개선이라든지, 학교측의 교육방침이라든지 말이다. 현 교권은 참 힘이 없다. 교사가 할 수 있는 것이 한정적이라는 것이다. 일본드라마 고쿠센에 나오는 양쿠미같은 교사가 과연 얼마나 존재하겠는가. 교실 카스트를 개선하기 위한 학교의 전반적인 시스템은 분명 시간이 꽤 오래 걸릴 것이다. 그렇다면 그 사이의 시간은 바로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려면 그들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고, 교권이 바로 서야 하지 않을까? 수 년 전부터 계속 진행되는 교실붕괴, 존경을 잃은 교권 모두 교실 카스트의 안타까운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건강한 청소년기를 위해 학생, 부모, 교사 모두 스스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이 안타까운 현실을 조금씩이라도 고쳐나갈 수 있지 않을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