밖에서 아는 삼성 안에서 배운 삼성 - 삼성전자 조 대리의 생생리포트
조승표 지음 / 아이넷북스(구 북스앤드)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밖에서 아는 삼성 안에서 배운 삼성

 

  우리나라에서 '삼성'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없을 것이다. 우리의 일상 속에도 깊이 녹아있는 것이 바로 삼성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취업준비생들이 가장 들어가고 싶은 직장으로 손에 꼽힐만한 곳이다. 사실 나는 삼성에 그다지 들어가고 싶은 생각은 없었다. 그것은 내가 원하는 것을 삼성그룹은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복지에 대해서는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내가 내가 원하는 일이 아니라 결국 다른 길을 택했을 때, 왜 조금 신중하지 못했나 하고 생각을 많이 했다. 아마 그 때 조급해하지 않았다면 나도 삼성고시를 고려해봤을 정도로 나는 삼성의 문화에 대해서는 참 좋게 생각한다. 이렇듯 현재 사람들은 회사의 복지에 대해 많이 생각한다. 자신이 열정을 쏟을 회사라면, 특히 복지를 눈여겨보게되지 않을까? 저자는 입사부터 입사 후 자신이 보고 익힌 생활들 그리고 복지와 그 안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샐러던트. 우리가 회사에 '입학'한 목표는 무엇인가.

  저자는 샐러던트라는 말을 쓴다. 그리고 회사에 들어가는 것을 '입학'이라고 말한다. 생소한 단어. 나는 이 말의 뜻을 이해하면서 나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 어디를 들어가던지 우리는 그 안에서 신입사원으로 시작한다. 들어가면 그곳의 문화를 익히면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물론 저자가 말하는 신입사원은 다르다. 'OJT'기간부터 시작하는 신입사원을 말하는데, 여기서 삼성의 문화에 대해 몇 가지 이야기를 해준다. 이 이야기들은 삼성이 역시 체계잡힌 대기업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신입사원 교육을 받으러 갔을 때, 선배 진행자가 말한 'Back to the Basic'이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종종 잊은 채 생활한다. 사회생활 한 지 몇 년이 지난 지금 나는 조금 부끄러워졌다. 초심으로 돌아가자고 생각한 지가 아직 6개월 채 되지 않았는데, 지금 나는 꽤 많이 해이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투덜투덜거릴 때도 있었다는 것은 참 낯뜨거워진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는 다시 마음을 다 잡을 수 있었다. 초심으로 돌아가자. 그리고 내가 생각했던 배움을 이제 이행하도록 하자고 말이다.

 

  평범한 사원이 회사가 원하는 인재로 성장하는 법

  이 부분에서 저자는 엑파워와 영어 그리고 스피드, 능력과 실력과 근면, 어린이 날, 야근은 선택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나는 꽤 공감하면서 읽었다. 사회생활을 꽤 해서 그런지 이 부분은 어느 회사에서나 필요한 부분이고 자신의 시간을 돌아볼 만한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엑파워는 결국 문서프로그램 능력인데, 이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모든 문서는 컴퓨터로 이루어지니 이런 스펙은 기본으로 가져가도록 하자고 말이다.

  그 다음은 영어다. 사실 나는 영어에 매우 안이한 편이다. 지금도 그렇다. 공부해야지 생각하면서도 어느 샌가 다른 것들로 인해 영어의 순위는 저 만큼 멀어져있다. 저자는 말했다. 하고자 하는 마음이 중요하다고. 그렇다. 시간을 내기 보다는 내 마음으로 접근하는 것이 우선인 듯하다. 조금씩 시작해봐야겠다. 더 늦기 전에!

  다음은 스피드다. 현 시대는 급속도로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 지시한 업무내용이 저녁이면 변할 수 있는 시대다. 그러나 우리는 그 스피드에 맞춰 일을 해야 한다. 그러려면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센스도 길러야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능력과 실력과 근면 중 어느 것이 제일인가라는 것인데, 역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근면이다. 예전에 면접을 볼 때 내게 십이지 동물 중에서 어느 동물에 비유하겠냐고 면접관이 물었었다. 그 때 나는 주저없이 소를 택했다. 부모님께서 워낙 근면을 중시했기 때문에 나도 그것이 몸에 배어 있었다. 근면성이 기본이 되어야 자신이 그동안 갈고 닦은, 앞으로 갈고 닦을 능력과 실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상사가 없는 날을 어린이 날이라고 칭한다. 이 날은 직장인들이 마음을 조금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날이기 때문이다. 아마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중요한 것은 숙제는 끝내고 놀 것! 그래야 다음 날도 마음이 조금 더 편하지 않겠는가?

  야근은 선택. 예전 내게 야근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워낙 바쁘게 돌아가다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었다. 그러다보니 몸이 못버티더라. 그 부분 때문에 결국 쉬게 되었었는데, 아마 그게 아니었다면 나는 이직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전 회사는 참 좋았다. 복지도 좋았고, 사람들도 좋았다. 내가 직속상사를 그렇게 좋아했으니 정말 내게는 너무 좋은 회사였다. 스스로 건강을 못 챙긴 것이 아쉬웠다. 그래서 지금은 스스로 건강을 챙기려고 노력한다. 야근은 거의 하지 않는다. 하지만 슬슬 내가 원하는 것을 위해, 내가 조금 더 발전하기 위해 나도 선택을 해볼까 하고 있다.

 

  워크 스마트, 스마트 라이프

  일을 똑똑하게, 가정도 일도 행복하게. 삼성은 워크 스마트를 위한 제도를 많이 운영한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자율출근제, 재택근무제 등등을 말이다. 게다가 적어놓은 복지 문화는 어찌나 부러운지! 아, 이래서 삼성, 삼성하는 구나 싶다. 대개 회사들이 많이 변화하고 있다. 자율출근제를 도입하는 회사들도 꽤 많아지고, 회식 문화도 술자리만이 아닌 다양한 회식으로 변하고 있으며, 특정한 날의 야유회 뿐만 아니라 주제를 정해서 하는 문화활동 등 다양한 활동이 늘었다. 일하기 좋은 회사를 위한 변화라고 생각한다.

 

  인재

  아마 지금 기업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재'라고 생각한다. 좋은 인재를 채용하고, 그 인재들을 끊임없이 자기계발하게 하며, 나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에 따라 삼성도 인재에 늘 불을 켜고 있다. 좋은 인재들을 채용하기 위한 삼성고시와 신입사원 교육프로그램, 인재 계발을 위한 시시때때로의 교육문화, 인재들이 즐겁게 일하면서 회사가 발전할 수 있도록 상생을 추구하기 위한 매출과 보상. 그러한 제도들을 끊임없이 생각하기에 지금의 삼성이 있는 것이 아닐 까 싶다.

 

  은퇴

  요즘 평직이라는 말이 참 낯설다. 이직을 많이 하는 시대이기에 우리는 종종 이별을 한다. 그런 이별이 우리에게 아쉽지 않도록, 끝까지 아름다울 수 있기를 저자는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 이별이 아름다울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 그리고 자신과 맞는 더 좋은 비전이 있는 곳으로 가기 위해 노력하고, 그에 합당한 곳이라면 선택할 것을 말이다.

 

  저자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나는 참 많은 생각을 했다. 조금 우울해지기도 했고, 조금 신이 나기도 했다. 아직 나는 갈 길이 멀고 내가 선택할 것은 많다. 저자는 내가 해이해졌던 것들을 바로 잡아주었다. 초심으로 돌아갈 것, 충분히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내가 목표한 바를 생각하고 고민하고 실천할 것. 멈춰서지 말고 도전할 것을 말이다. 나는 이 이야기를 취업준비생들도 좋겠지만, 지금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도 읽어봤으면 좋겠다. 그래서 자신의 사회생활을 재조명해봤으면 해봤으면 한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