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 심리학 레시피
시부야 쇼조 지음, 김하경 옮김 / 프리윌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연애 심리학 레시피

 

  현대 사람들에게 연애는 어떤 걸까? 솔직히 잘 모르겠다. 예전만큼 애틋하고 풋풋한 감정이 맞는 것인지 요즘은 자꾸 의심이 든다. 너무 쉽게 하는 것이 바로 연애다. '너, 나 좋아? 그럼 사귈까?' 이렇게 한 마디로 정리되는 것이 바로 연애라는 사실에 안타깝다. 물론 지금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만연하다는 것은 아마 누구도 의심치 않을 것이다. 외사랑에 마음 앓으며, 어떻게하면 그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을까? 어떻게하면 내가 그 사람의 눈에 들 수 있을까? 이런 생각으로 밤을 지새본 기억이 다들 한 번쯤은 있을까? 이렇게 아무리 연애가 쉬워졌다한들 사랑이라는 단어는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사랑이란 감정은 그 단어만으로도 순수하다고 생각하니까. 저자는 연애 심리학 레시피를 통해 남자와 여자의 연애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행복해지는 연애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사람은 사랑을 한다.

  사람은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고, 연애를 하고, 이별을 한다. 그 안에는 설렘, 기쁨, 안정, 즐거움, 슬픔, 고통, 분노라는 모든 감정이 있다. 그건 서로 다른 사람이 만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서로 다른 남녀이기에 서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때도 있고, 사람이기에 자신의 상처를 염려하여 피하기도 한다. 그건 당연한 것이다. 저자는 그러한 부분을 잘 풀어놓고 있다. 사랑을 하게 되는 이유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첫인상 '초두효과' 그리고 만날수록 좋아지는 효과와 실연까지. 어쩌면 이론적인 사항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알아둘 필요는 있겠다. 또한, 중간 중간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신을 돌아볼 수 있고, 또한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이 지금 현재 호감 상태인지, 사랑 상태인지도 체크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한 번쯤 읽어보고 테스트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남자와 여자의 연애 심리 메커니즘

  '어른이 되고 싶지 않다. 언제까지고 책임감 없이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어린아이였으면 좋겠다.'

  요즘 이런 피터팬 증후군의 남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유예기간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 현실로 드러나는 셈이다. 아직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만큼 누군가에게 상처받는 것도 두려울 뿐더러, 책임감에 대해서는 더더욱 기피하게 된다. 이런 경우 연애는 하겠지만, 결혼은 하기가 어렵다. 아직 자신은 철이 들고 싶지 않다는 생각 때문이다.

  '다른 사람에게 보호받거나 의존하려는 심리때문에 여성이 자신의 능력과 창조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

  신데렐라 콤플렉스는 아직도 이 사회에 팽배하다. 특히 놀라운 점은 비교적 학력이 높은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난다는 점이다. 경제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실현하기를 주저한다. '에이- 요즘 누가 그러겠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한 번 생각해보자. 우리가 소위 말하는 신데렐라 콤플렉스는 백마탄 왕자를 만난 신분상승으로 생각하는데, 그 역시 다르지 않다. 남편의 보호 아래 자신을 두려고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남자와 여자의 행동 심리 메커니즘

  표정과 시선, 손짓, 목소리, 잠버릇 등으로 저자는 남자와 여자의 심리를 알 수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책을 따라가다보면 다양한 테스트가 있으니 한 번 해보는 것도 책을 읽는 묘미. 예전에는 이래서 심리학 관련 책들을 좋아했다. 심리테스트는 흥미롭다!

 

  연애 심리

  연애는 둘이 하는 것이다.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참는 것은 결국 이별을 부른다.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 누구나 연애를 할 때, 이별을 생각하고 연애를 시작하지 않는다. 하지만, 서로에 대해 얼마나 생각하고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상대방을 얼마나 이해하고 배려하고 있는가? 혹시 자기 자신만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슴도치처럼 가시로 상대방을 찌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행복한 연애를 하고 싶다면, 상대방을 배려하는 관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하는 저자의 말에 동감하며, 반성해본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