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함께하는 엄마 철학
이바로 지음 / 무한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와 함께하는 엄마 철학"은 아이의 행복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 엄마가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가치 있고 소중한 것이 "인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훌륭한 인격, 명문 대학 졸업장, 높은 연봉 직장 세 가지 중에서 내 아이에게 줄 수 있는 능력을 두 가지 고른다면 무엇을 고르겠냐고 물으며 글을 시작한다.

  저자는 "명문 대학 졸업장"은 결국 두 가지 능력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독자들(엄마들)이 스스로 깨닫기를 바라고 있다. 자식을 잘 키운 기준이 명문대 입학인 한국 사회에서 대다수의 부모들은 진지한 고민 없이 입시 위주의 과열된 교육을 하고 있는데 저자는 "명문대학 졸업장"은 부모들이 자신의 인생 중반부와 아이의 유년기 대부분을 희생하면서까지 좇을 만한 가치가 결코 아님을 말하고 있다. 저자에 의하면 "명문대"를 더 나은 교육 때문에 선택하는 것이라면 인성을 선택했기 때문에 충족이 되고, 좋은 직장을 갖기 위해서였다면 높은 연봉 직장을 선택했기 때문에 충족이 된다는 것이다. 만약 좋은 대학이 아니어서 자부심을 가지지 못할것임을 우려한다면 다른 두 조건으로 커버가 될 것이고 좋은 대학이어서 가지는 자부심이라면 그건 결코 좋은 자부심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저자는 엄마들이 "명문 대학 졸업장"이라는 나무를 보기보단 "훌륭한 인격과 높은 연봉 직장"이라는 숲을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엄마가 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데 특히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아이가 태어날 때 엄마도 태어난다는 부분이었다. 자신의 한계와 무력감을 극복하고 자신과 아이의 삶을 위해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꾸준히 배우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행복한, 직업에 대한, 인격과 관련한 롤모델. 즉, 세명의 롤모델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매우 인상적이었다. 사실 모든 면에서 완벽하게 존경할만한 인물을 찾기도 힘들고 그런 인물을 찾으려다 롤모델다운 롤모델이 없음에 실망하고 결국 어떤 롤모델도 없이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 않을까 싶다. 저자는 이 점을 언급하면서 어느 완벽한 사람을 찾으려 하기보단 각각의 인물로부터 좋은 점만 참고하는 차선의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매우 현실적인 조언인 것 같다. 특히, 행복한 사람의 롤모델은 가급적 부모가 되어야한다고 하는데 행복한 부모의 모습을 아이들 가까이에서 자주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이 긍정적인 자세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는 인성의 중요성만 강조하며 대입 위주의 과도한 교육열을 무조건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훌륭한 인성을 가지도록 안내하는 방법들을 제시하며 훌륭한 인성을 가진 아이로 키운다면 그 아이는 이미 훌륭한 아이가 되어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즉, 100점을 받기 위해 공부를 많이 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부를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면 저절로 100점을 받는 아이가 되어 있을 것이라는 저자의 의견에 동감하며 원칙을 잃지 않고 품위 있는 권위를 가진 엄마가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