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림속에 노닐다' 가 가장 읽기 가벼웠다면 '오주석의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은 가장 읽기 무거운 책이었던 것 같다. 물론, 오주석씨의 글들이 모두 읽기 평이하고 재미있으나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 보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서 가볍지만은 않았다.

오주석씨의 책을 읽다가 조금 아쉬운 점은 그림 소재의 선택 폭이 너무 좁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생전에 오주석씨는 문인들의 고즈넉한 삶과 그들의 그런 삶에서 베어나오는 그림들을 특히 좋아하셨나보다. 그래서 문인들의 초상화와 산수화 같은 문인화가들의 그림이 많다. 동양미술사 선생님께서 우리나라는 장승업 작품이 특이하다 하셨는데 그러고 보니 오주석 선생님의 글 중에서는 장승업 그림은 한 번도 소개된 적이 없다. 그리고 신사임당의 작품도 없다. 그나마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은 소재의 폭이 '오주석의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에 비해 넓다. 그래서였는지 비슷한 소재나 방식의 그림들이 소개되어있는 ‘오주석의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은 지루한감이 없지 않아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아쉬운 점은 작품을 한 면에 실어놓고 그림의 세부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래서 한줄 읽고 다시 앞장의 그림을 넘겨봐야 했는데 그렇게 이리저리 넘겨가면서 글과 그림을 읽어나가다 보니 툭툭 끊어지는 바람에 집중도가 떨어졌다. 작품세부를 글 옆에 실어놓고 글과 비교해가며 쉽게 볼 수 있도록 배려해놓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렇지만 한 작품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룸으로써 이전의 책들에 비해 조금 더 찬찬히 세부를 살펴보고 감상할 수 있었으며(물론 직접 실물을 감상하고 싶은 생각이 용솟음 쳐 올랐지만..) 작가들의 삶과 문학이 결부되면서 작품 감상에 풍요로움과 흥미, 이해도를 더욱 높였다.

김명국의 ‘달마도’의 먹선 표현과 김홍도의 ‘주상관매도’의 하늘과 물이 하나가 된 넓은 여백의 넉넉한 품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이전에는 이해하지 못한 김정희의 ‘세한도’ 속의 꿋꿋함을 이제야 마음으로 느꼈다.

‘오주석의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2권’에 담긴 작품들은 어떻게 또 감동으로 다가올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