긱 이코노미 - 정규직의 종말, 자기고용의 10가지 원칙
다이앤 멀케이 지음, 이지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책을 읽고 있는 중에 출근길 버스에서 들린 라디오 방송에서 긱이코노미가 답인 문제가 나왔었다. 평소에는 관심도 없이 흘려들어버리고 말던 방송이었지만 이것의 답은 분명 이것이다!하는 확신이 드는 아는 것이 나오니, 역시 귓속을 파고드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긱이라는 의미는 원래 1920년대 미국 재즈 공연장 주변에서 그날그날 필요에 따라 연주자를 섭외해 공연하던 것을 일컬었던 데서 유래한 말이라고 한다. 좀 나쁘게 표현하자면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의 부품화가 된 것이겠지만 요즘은 객원이라는 말일 더 어울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같이 일 할 때도 있지만 아닐 때도 있어서 항상 고용이 보장되지 않겠지만 자신을 위한 일을 좀 더 골라서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것으로 인해 새로운 기회를 찾게 될 수도 있을테니까.

​처음 일을 시작하면서는 정규직으로 시작했었다.

어느 한 회사에서 일을 하며 복지를 지원받고 회사에서 해야하는 것들을 해내야하는 것이 그 속에서 지낼 때에는 크게 반발이랄 것도 없었던 시기였다. 하지만 나의 성격과 패턴과는 맞지 않아 비슷하면서도 나아지지 않는 일을 하며 점점 더 도태되어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더 크게 마음 속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회사를 나와 같은 일을 하면서 다른 지역, 좀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되어 프리랜서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하는 일에서나 일을 하는 부분에서의 역할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는 것 같다. 할 수 있는 것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과 돈을 좀 더 많이 벌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 그리고 복지가 없어진 것.

나아지는 것이 있으면 나빠지는 것이 있겠지만 현재는 나에게 맞는 부분을 찾았다고 생각된다. ​

성공에 대한 기준이 달라지고 있다. 일을 하게 되면 어떤 회사에서 오래 일하는 것이 기준이었던 때도 있었다.​ 복지나 연차라는 것들은 근무한 연수가 쌓일수록 좀 더 크게 다가오지만 쉽게 체감할 수는 없다. 특별히 파격적인 조건으로 좋아졌다고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익숙해지기 때문일 것이다.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것이 기준이 될 수도 있겠지만 일을 하면서 얻는 자기만족이 더 큰 가치가 되고 있다.

스스로 해나가야 하는 것이 많아진 만큼 책임질 일도 많아졌지만 신경 쓸 일이 줄어든 것도 있고, 늘어난 것도 있다. 개인사업자로 일을 하면서는 세금신고나 노후 준비로 돈을 모으는 일들에 있어서 신경써야하는 일이 오히려 늘어난 것이 아닌가 - 하는 부분도 있다.

어느 것이 누구에게 딱 맞는다거나 하는 것은 없을 것 같다. 다른 사람의 말을 듣기 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것이 어떤 것인지 스스로를 들여다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