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노자 석가
모로하시 데츠지 지음, 심우성 옮김 / 동아시아 / 200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공자의 인(仁), 노자의 도(道), 석가의 자비(慈悲).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중·고등학교 때 줄 곧 배웠던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사상가들의 깊이는 얼마나 느꼈을까? 공자의 인은 그냥 인이듯 우린 표면적으로만 그 말의 의미를 이해했다. 그래서 그런지 현실적용은 어려웠다.

이 책은 그런 어려움을 말끔히 해소시켜준다. 백수(白壽)의 나이에 이 책을 집필한 저자는 동양사상이란 이런 것이란 것을 정말 물 흐르듯이 말해준다. 공자, 노자, 석가의 삼자대면을 통해서. 고대 서양철학가들이 대화법으로서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듯, 저자도 그런 방법으로 세 사상가의 사상을 비교하고 있다.

또한 저자 스스로 이 삼자대면의 사회자가 되어 우리들이 평소 궁금해 한던 것들에 대해 질문을 함으로써 그 궁금증을 해소시켜준다. 인, 도, 자비. 이 모든 것이 지향하는 바는 같지만, 세 사상가들의 출생과 그 당시 사회상으로 인해 조금씩은 틀리다는 것이다.

공자는 군자상을 내세우며, 지행일치를 하라고 하였지만, 노자는 당시의 혼란한 시기로 인해 무위자연의 삶을 지향했고 도란 자연히 일깨워지는 것으로 본다. 인간이 만든 법이나 사회적 제도 같은 것들은 역으로 인간 사회가 혼란하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조금은 역설적이지만, 어휘가 만들어지는 이유가 그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란 것을 생각해보면 이치에 맞는 말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석가는 부유하게 자랐지만, 풍파를 겪으면서 인간의 삶이란 무상하다는 것을 알고 제행무상(諸行無常)을 말하였다. 그래서 석가가 지향하는 바는 고집멸도(苦集滅道)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러한 비교론적 방법의 전개는 말 그대로 한 권으로 읽는 동양사상 입문서로 부족함이 없다. 세상이 변해도 전통이란 것은 남아있기 마련이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란 말은 이 책에 더없이 적당한 말일 것이다.

세 사상가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삶이란 것이 보는 시각에 따라 어떻게 변하고, 그 시각은 시각의 폭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세상에는 많은 사상이 존재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상은 아마도 자신이 그 사상을 어떻게 체화(體化)시키냐 일 것이다.

아마도 저자는 지식이란 공유하는 것이라는 사고를 가지고 이 책을 썼을 것이다. 그것을 행한 후 저자는 타계했다. 저자는 이미 자신이 말하고 싶은 공자의 지행일치를 몸소 행한 것이다. 자신만이 아닌 우리들의 사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