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결혼과 섹스는 충돌할까 - 현대 성생활의 기원과 위험한 진실
크리스토퍼 라이언 & 카실다 제타 지음, 김해식 옮김 / 행복포럼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 지인들에게 흔히 듣는 말.. 또한 유행어처럼 돌고있는 말.. 진담같이 퍼지는 농담..

결혼 후, '애인 없는 유부남(녀)은 바보' 실상에서 애인 있는 유부녀, 유부남을 많이 보고 있다.

"밖에서 무얼하든 기분전환을 하고 욕구충족을 하면서 가정에 충실하면 된다" 라는 말을 한다

가정을 깰 생각은 서로간에 없고 그저 남편과 아내에게서 얻지 못하는 것을 애인을 통해 얻고

집에 돌아와 가정에 충실하기만 하면 된다는..

이러한 생각들을 과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이미 상대 배우자에게 갖는 정조개념은 무너진지 오래인듯 하다.

이런 병폐가 만연한 시점에 출간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어떤 점을 깨닫게 되는 것일까?

 

모노토미(일부일처제, 단조로움)의 위험들

: 내게는 좋은 결혼의 전제조건이 바람을 피울 수 있는 면허증인 것처럼 보인다 by 칼 융

 

인간은 동물과 구분된다지만 본능에 의해 저질러 지는 수많은 욕망, 그로 인한 범죄는 인간이 유인원에 가까운 진화된 존재라는 것을 알려주는듯하다. 이성이 있어 스스로를 통제한다지만 그렇지 못한 인간도 많으며 그런 사례는 범죄자 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에게도 일어나는 것이다

본능이란 말한마디로 설명이 되는가... 성문제에 자유로운 문화를 가진 부족집단이 오히려 왜곡된 성문제가 없다고 한다. 정조와 성문화에 폐쇄적인 우리나라를 보라! 겉으론 아닌척 하면서 어둠속에서 얼마나 퇴폐적인가. 예의를 중시하는 일본도 예의를 지키는 사람들로 보이지만 밤문화는 우리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 하지는 않다.

 

'결혼'과 '섹스'라는 주제는 우리들에게 있어 매우 흥미로운 주제다.

또한 이 책은 광범위한 다양한 시각으로 성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여 무척 신선했지만, 독자로 하여금

정신노동을 동반하여 읽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결국 결혼과 섹스가 충돌할까?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정조, 예의를 지키며 살다보면 충돌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지금 내 앞에 있는 그(그녀)가 아닌 다른 사람을 만나도 지금과 별반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