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게임 - '세대 프레임' 을 넘어서
전상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중이 익숙하고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세대 논리의 합리성과 현실성을 비판적으로 논한 책. 고속 성장 신화가 지배했던 박정희 집권기부터 그 신화가 부서져 버린 박근혜 정부 말기까지, 여러 시대의 사람들이 공유했던 정서와 신념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담겨 있다. 


흔히 많은 학자들과 독자들은 세대를 나이 기준으로 가르면서, 고연령은 고루하고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흘러간 세대, 저연령은 변화와 합리성을 추구하는 신세대로 간주하는 데 익숙하다. 그러나 저자가 2016년말 촛불 현상을 예로 들어 논했듯이, 같은 연령대에도 변화를 완강하게 거부하는 이들이 있고 평생의 신념이 깨지는 고통을 무릅쓰고 시류에 동참하는 이들이 있다. 같은 나이라 하더라도, 몇십 년 전의 청년들과 지금의 청년들이 공유하는 강렬한 동시대의 경험은 다르기 마련이다. 


이에 저자는, 비슷한 연령의 사람들을 정서적으로 묶는 강력한 요소는 다름 아닌 같은 '시간'(동시대)의 경험이라고 진단하며, 시간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개념어들을 제안한다. 또한 '세대 게임'을 악용하는 자들, 그러니까 같은 시대적 경험을 공유한 '시간 향우회' 회원들의 긍지와 좌절을 자극하고 부추겨서 특정한 정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는 전략꾼들에 대한 비판도 저자는 잊지 않는다.


---------------------------------------

서평에 해당하는 내용은 아니지만, <세대 게임>을 읽다 보니 본문에도 언급된 영화 <국제시장>에 생각이 닿았기에 영화에 대한 때늦은 평을 간략히 적어본다. 주인공 덕수는 누가 봐도 박정희 시대의 산업 역군을 대변하는 인물이다. 한국 근현대 산업 역군의 에피소드를 주인공의 일대기에 다 때려넣은 설정,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의례 에피소드를 칭찬한 사실 때문에 이 영화는 박정희 시대에 아부하는 작품으로 알려지곤 했다. 


그러나 이 영화의 미덕은 사람들이 그리 주목하지 않았던 (것 같은) 노인 덕수의 사소한 언행에서 드러난다. 타국에서 가난한 막노동꾼으로 설움을 겪었던 그는 고향 동네에서 업신여김당하는 이주민을 옹호한다. 평생을 땀흘려 지킨 가게 꽃분이네를 지키려 고집을 부리지만, 가족 모임 도중에 조용히 집 안을 빠져나가 대성통곡하며 나름의 평생 씻김굿을 한 다음에는 "꽃분이네 팔아라"며 자신의 시대가 끝났음을 선언한다. 


<세대 게임> 저자의 분석틀에 따르면, 자신의 시대를 떠나 보낸 '시간 실향민' 덕수는 자신이 보낸 시간을 '역사화'하여 떠나 보냄으로써 한을 풀고 자녀들과 화해한다. 적어도 감독은, 덕수의 품위 있는 인생 황혼을 통해 내 집안 일으키는 것을 평생의 과제로 알고 살았던 순진한 어르신들에게 일말의 예를 갖추어 위로를 건넸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