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눈물 (2disc)
이누도 잇신 감독, 마츠모토 준 외 출연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2007년의 베이징처럼 올림픽을 준비로 도시 곳곳 캠페인과 공사가 한창이던 1963년 도쿄. 한참 성장에 채찍을 가하며 정치, 경제, 문화 부분에서도 변화가 한창이던 때 암환자인 엄마를 도쿄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해 결성된 의사단이 있었으니 만화가인 에스케와 그가 고용한 시모카와, 쇼이치, 류조다. 의사를 사칭한 이들이 그럼 사기단인가. 아니다. 이들은 소설가, 화가, 가수를 지망하는 의기양양한 청년들이다. 아르바이트 비를 나누고 원대한 꿈이 있으니 훗날 만날 수도 있겠지라는 막연한 약속을 뒤로한 채 각자 삶의 공간으로 흩어진 이들은 그로부터 정확히 2개월 후 에스케의 집으로 찾아 든다.
 

  그림도구로 묵직한 가방과 캔버스를 양 어깨에 낀 시모카와, 묘한(?) 사진을 팔다 경찰에 붙잡힌, 가진 것이라곤 책 몇 권과 만년필 한 자루가 전부인 류조, 기타를 메고 집에서 다시 가출해버린 쇼이치 그리고 스릴, 스피드, 섹스에 열광하는 독자층과 거리가 먼 서정만화를 그리는 에스케. 하지만 이들은 일전무취. 돈이 없다. 여름, 전기세 때문에 조금만 참자며 옷장에 고이 모셔뒀던 에스케의 선풍기를 저당 잡히고 이들은 밥을 시키고 술을 마신다. 술과 음악과 예술을 향한 열정에 취해 이들의 동거생활은 이렇게 시작된다.
 

  도둑질도 해본 사람이 잘한다고 했던가. 빈곤경험이 예술 활동에 밑거름이 될 거라는 핑계아래 골은 배를 달래기 위해 기타, 만년필, 화구, 캔버스 심지어 옷과 모자, 신발까지 저당잡히고 빈둥거리기만 하는 류조, 시모카와, 쇼이치. 이런 셋을 위해 10일 하고도 일주일동안 어시스턴트 아르바이트를 하며 돈을 모은 에스케는 그리고 싶은 만화는 돈이 안 되고, 돈이 안 되니 출판사에서 그리라는 만화를 그려야 한다. 그러니 이 돈을 아껴 이 여름, 각자가 하고 싶은 것을 마음껏 해보자며 그의 자유론을 펼친다. 이 여름, 이렇게 이들은 돈 때문에 ‘하지 못했던’ 각자의 예술 활동을 시작하는데... ... .
 

  이 여름 에스케는 책상 앞에 앉아 오랫동안 꿈꾸던 만화를 그린다. 류조도 늘 가던 까페에 앉아 소설 구상에 여념이 없다. 공원에서 유화를 그리던 시모카와는 영감을 주는 뮤즈를 만나고 그 여인을 위해 그린 그림이 드디어 팔린다. 쇼이치는 나름의 팬층을 확보하며 재능있다는 소리를 듣는다.
  영화 속에 꿈을 향한 포부로 가득 찬 사람들이 나온다. 그다음 우리가 꿈꾸는 것은 이들이 성공하는 것이다. 갖은 시련을 겪고 정상에 올라간 그가 엘리베이터보다 빠르게 추락할지 몰라도 우선은 ‘성공’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에서 소설가, 만화가, 화가, 가수 등 전문성을 띈 직업군을 꿈꾸는 지망생들이 살아남기란 힘든 일이다. 결과물이 있어야 평가받을 자격이 되고 기존 것과 다른 색을 내지 못하면 피지도 못하고 죽을 수밖에 없는 꿈, 꿈, 꿈들. 영화는 성공에 대한 우리의 바람을 배신한다. 주인공들은 악보에 음을 그리고 흰 캔버스에 점을 찍고, 첫 문장을 시작하는 대신 ‘보통 사람’이라는 차표를 받는다.
 

  시인을 꿈꿨지만 지금은 폼나는 은행직원이 된 친구는 그 날 잠에서 깬 순간 문득 자신이 시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때부터 마음이 편안해졌다고. 꿈이 이루어야만 하는 의무가 돼 버리는 순간, 비극은 시작된다.  
 

  영화가 꿈과 재능 거기에 운까지 있는 천재를 그리고 있지 않아 다행이다. 꿈의 세계를 여전히 믿고 있어서 생활고에 시달리지만 하루하루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하려고 하는 나를 그려주어, 백지 인생 앞에서 여전히 허둥대는 무능한 보통 사람인 나를 그려 주어, 그리고 어느 순간에나 혼자임을 견디지 못하고 바로 누군가를 찾아 나서는 의지가 약한 나를 그려 주어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