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나의 블루 캐슬
루시 모드 몽고메리 지음, 김고명 옮김 / 예담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빨강머리앤의 저자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책 달콤한 나의 블루캐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나는 어렸을때 빨간머리앤을 무척 좋아했다. 소설책과 만화영화시리즈도 놓지지 않고 볼정도,,

명작소설 빨간머리앤과 에이번리의 앤은 지금도 소장중이다.

이 책은 빨강머리앤과 마찮가지로 해피엔딩으로 끝을 마친다.

루시모드 몽고메리의 독특한 사랑스러움과 싱그러움이 문체에 잘 나타나듯, 결말역시 해피엔딩이라 내 입맛에 딱맞는 책.

시한부 판정을 받은 주인공이라서 처음에는 읽기를 꺼렸으나, 결말을 알고나서는 다소 마음이 안정이 된건 안비밀..

(책을 펼치자마자, 밸런시가 정말 죽는거야?? 라며 뒷장을 먼저 넘겨서 결말을 확인하고 그제서야 여유롭게 다시 앞으로 돌아와

책을 읽었다...ㅎㅎㅎㅎ)

 

 

책의 주인공은, 29살의 노처녀 밸런시 스털링.

당시의 시대상이 여성을 차별해서인지, 여성의 인권이 낮아서인지,, 밸런시의 가족들과 친척들은 그녀를 무시하고 상처주기에 급급해 보인다.... 그러나 내눈으로 본 그녀는 나이에 비해 소녀같고, 철이없으며, 감수성이 높은 사춘기 소녀같았다... 그런 그녀의 주변환경은 그야말로 최악....(작가의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성 성차별과는 별개로 더 최악의 집안환경이었다.) 

그녀가 의사로 부터 받게되는 시한부 판정..

그녀의 삶이 1년 남았단다,, 심장의 이상으로 시한부 판정을 받게된다.

그때부터 밸런시의 삶은 그야말로 일탈을 경험한다.

그간 눌려왔던 억압을 비웃기라도 하듯, 자신의 마음대로 말하고 행동하는 밸런시,, 가족들이 의아하게 생각하자 가출까지도 감행하는 과감한 행동력,  29살을 노처녀로 보냈는데, 마지막을 결혼도 못해보고 죽을순 없어!

그녀와 남들이 보기에는 이상적이지 않은 남자 버니에게 먼저 청혼이라는 (당시로는 꿈도 못꿀) 기행을 일삼는다.  

 

 

(책속 예쁜 일러스트 - 주인공인 밸런시와 버니 : 꽃미모의 두 주인공 되시겠다~)

 

 

블루캐슬은 밸런시의 이상향, 그녀가 꿈꾸는 행복한 공간이다.

29년동안 꿈꿔왔던 블루캐슬은, 버니와 결혼생활을 누리는 섬에서 실현시킨다.

책의 시점이 100년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동등한 위치에서 결혼생활을 누리는데,(당시 시대상으로 매우 파격적이지 않을까싶다.)

 

 

밸런시의 애칭을, 달빛, 꼬맹이라 부르는등 달달함을 마음껏 경험하게 해준다.ㅎㅎㅎㅎㅎ

외모로 상대를 판단하지 않고 서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둘의 사랑스러움은 그야말로 보는 내내 힐링이 되어가는듯.......

 

 

빨간머리앤이 고아소녀 앤의 성장기라면, 이 책은 마치 앤 언니 노처녀 밸런시의 자아를 찾아가는 좌충우돌 결혼도전기이랄까...

솔직히 앤과같은 몰입도는 없었지만,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사랑스러운 문체가 돋보이는 점은 한결같았다.

(앤은 워낙 애니메이션으로 심도깊게 몰입해서 보았기 때문에 더 애착이 남는걸지도.....)

 

 

이 책을 읽고나서 당시의 시대상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가 말도안되는 이야기들로 소설을 쓰고, 드라마를 만드는것처럼,

100년전의 여성들은 밸런시와같은 자유로움을 꿈꾸었을듯....

지금은 당연스럽게도 이 이야기가 특별하지 않겠지만, 당시로서는 밸런시야말로 자신들의 로망을 재현시킨 신여성이었을것 같다. 

여러가지 관점에서 흥미로운 책, 그녀의 문체는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에서 영화처럼 이야기의 내용들이 펼쳐지게 만드는것 같다.

읽는 즐거운 정말 사랑스러운 소설.

루시모드 몽고메리의 문체의 사랑스러움을 체험해 보길 바란다.

 

 

한페이지 모두 버릴수가 없다.

"스스로 갇힌 감옥은 감옥이 아니어라" - 자기 감옥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구속

 

"대가를 치르고 경험을 사면 그건 자기 경험이 되는거예요. 그러니까 얼마나 큰 대가를 치르느냐는 문제가 안돼요.

다른사람의 경험은 절대 내 것이 될 수 없어요."

 

 

달달한 문체,,

 

"예쁜꼬맹이. 아, 이 예쁜꼬맹이 같으니라고! 가끔은 당신이 너무 괜찮은 사람이라서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싶어."

 

고전적인 번역체가 맘에드는 소설.

취향에 맞는다면 꼭 책으로 만나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