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략의 한비 지혜의 노자 - <한비자>로 나를 세우고 <도덕경>으로 세상을 깨치다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전국시대 말 군웅이 서로 대립하며 한()나라는 점차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에 한비는 나라를 걱정해 여러 차례 왕에게 개선책을 제시했다. 그러나 왕은 끝내 그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았고 한비는 은거해 저술에만 전념했다. 그는 예리한 시각과 냉철한 태도로 현실 사회와 정치, 그리고 인생을 깊이 있게 관찰하고 날카롭게 분석했다. 한비의 정치 사상은 진시황의 중국 통일을 앞당기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까지도 변함없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있다.

한비는 전국시대 말 한()나라 귀족출신으로 한때 대사상가 순자(荀子)를 스승으로 섬겼다. 그는 <한비자(韓非子)>를 통해 법가 사상을 집대성하고 법(),(),()는 모두 제왕의 도구다 라는 관점을 제기했다. 말로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설득하는 데 서툴렀지만 뛰어난 사고력과 글재주로 저술방면에서 더 활발히 활동했다.

한비는 법가 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법()을 최고의 권력으로 보았으며 지위와 신분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의 법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사상은 혈연(血緣),신분(身分),지위(地位)등에 따라 엄격한 차별이 존재했던 당시 중국 사회에서 상당히 앞서나간 것이었다. 한비는 도가 사상을 선별적으로 받아들였으며 노자 사상을 연구한 해괴(解襘),유괴(喩襘)를 저술했다.

노자는 고대의 위대한 사상가다. 그의 저서 <도덕경>은 중국 고대 철학 사상의 새로운 물꼬를 텄고 중국 사상과 문화 발전에 크게 공헌 했다. 노자는 현대인들에게 대인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는 법,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법을 알려주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지혜를 빌려 줌으로써 인생에서 직면하는 수많은 문제를 虛心坦懷하게 마주하고 헤쳐나갈 수 있게 도와준다. 그의 지혜는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비옥한 정신적 토양을 제공해 준다.

<한비자><도덕경>은 풍부한 철학 사상과 인생의 지혜를 담고 있다. 비록 이 저서들과 현대인 사이에는 수천 년의 시간이 존재하지만 그 속에 담긴 가르침과 감동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된다. 이 책에서는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며 발전한 法家老子 思想을 함께 정리하며 이들 사상을 배우고 연구하며 春秋戰國시대의 대혼란 속에서 건져올린 불멸의 지혜를 이 시대의 관점에서 다시 한번 음미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