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붕괴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에 나온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대변동은 국가의 위기에 적용해 볼 수 있는 12가지 법칙이 있다고 보았다. 다이아몬드의 책답지 않게 대변동은 술술 읽히는 책이었으며 현재 사회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요소가 상당했다. ‘문명의 붕괴서평을 쓰고 있는데 왜 대변동의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대변동을 재밌게 읽고 난 후 다이아몬드의 전작을 읽고 싶다는 욕망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그렇게 패기롭게(?) 집어 든 책이지만, 페이지 수에 놀라고 내용에 한 번 더 충격을 받았다.

 

책 제목에서 볼 수 있다시피 이 책은 문명이 어떻게 붕괴하는지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저자는 문명 붕괴의 요인을 6가지로 보았다.

 

1. 환경 요인: 환경의 무분별한 파괴

2. 기후 변화

3. 사회 문제에 대한 구성원의 위기 대처 능력 저하

4. 적대적 이웃

5. 우호적인 이웃의 지원 중단으로 붕괴

6. 5가지 요인 모두

 

그러면서 과거사회의 위기를 돌아봄과 동시에 현대사회의 위기도 살펴본다. ‘대변동에서는 없었던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이 포함되어있다. 더 나아가 미래사회의 위기도 살펴보고 있다. 다이아몬드가 책에서 주장하는 핵심은 환경이다. 이 전작 총균쇠에서도 지정학적 위치와 환경이 인류의 문명 발전에 영향을 준 것처럼 붕괴에서도 마찬가지다. 현대 사회에 가장 큰 문제 기후변화, 자원 문제 등은 미래 사회에서 가장 고민되는 걱정거리이다. 현재 세계인류는 75억이며 인구는 계속 늘어날 것이며 이에 따른 자원의 부족 현상은 심해질 것이다. 잇따라 찾아오는 기후변화는 더 많은 자원의 손실과 문명이 붕괴하는 데 영향을 줄 것이다. 이스터섬의 삼림파괴가 문명을 붕괴시키는데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처럼 말이다.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책은 대부분 어마어마한 두께로 두려움을 야기시킨다. 하지만 비어있는 공간 없이 수많은 사료로 근거를 내려놓는 걸 보면 책값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