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동양신화 중국편 - 신화학자 정재서 교수가 들려주는
정재서 지음 / 김영사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 사회, 문화콘텐츠 전반에는 신화적 요소가 상당수 가미되어있다. 어벤져스의 토르, 방탄 소년단 뮤비 <피땀 눈물>에 들어있는 그리스 신화, ‘스타벅스의 세이렌 로고나 화장품 헤라등 주위를 조금만 둘러보아도 신화에서 기반 된 여러 요소가 보인다. 어린아이에게도 신화를 많이 읽힌다. 필자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는 한창 그리스 로마신화가 붐이었다. 만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여러 콘텐츠를 보면서 신화에 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어느새 북유럽, 켈트, 이집트 등 다양한 나라의 신화를 찾아보고 공부했다. 우리가 많이들 접한 신화는 대개 서양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광복 후 급격히 서구화가 진행된 대한민국의 현실 때문일 것이다(문화콘텐츠 산업에서도 서양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 성경과 그리스 신화를 필수로 읽어보라고 한다.) 하지만 신화는 동서양을 따지지 않고 존재한다. 동양 신화에서도 서양과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동양 신화에서 가장 매력적인 신을 이야기 하자면 혼돈의 신 제강과 거인 반고를 들 수 있다. 제강은 얼굴이 없고 날개는 4, 다리는 6개가 달려있다. 제강은 숙과 홀이라는 두 친구가 눈과 귀, 코를 만들어주려고 7개의 구멍을 뚫었는데 그만 죽고 말았다. 이는 혼돈의 시대가 끝나고 인간의 시대가 찾아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거인 반고는 동양신화의 창세기를 의미한다. 거인은 알에서 깨어난 후 점차 크기가 커진다. 반고의 머리는 천상이고 다리는 땅인데 점차 서로 멀어져 9만 리나 벌어지게 되었다. 거인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몸이 쇠약해지고 자연사한다. 그의 사체는 산과, , 별이 되면서 세상의 시작을 알린다. 서양에서도 거인 신화는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올림푸스 신이 자리를 잡기 전 대지의 여신 가이아가 낳은 티탄족이 기승을 부리고 있었다. 북유럽 신화에서는 창세기를 알리는 거인 유미르 이후 다양한 신들이 태어난다. 후에 유미르는 오딘에 의해 죽게 되고 거인의 사체에서 인간이 태어난다.

 

동양 신화를 보면 서양 신화와 비슷한 점을 흔히 볼 수 있다. 개 머리 인간 환구에 관한 이야기는 에로스와 프쉬케, 에우리디케와 오르페우스 신화와 비슷하며 예와 열 개의 태양 이야기는 파에톤의 태양 수레 신화와 유사하다. 이 같은 유사점은 유라시아 대륙을 통해 신화가 전승되었을 수도 있고 문명은 달라도 인간의 사고는 비슷하다는 점을 알려주는 일이기도 하다.

 

동양 신화는 대개 중국에서 기반이 되었기 때문에 중화 사상적인 이야기가 다소 들어가 있다. 저자는 이점을 안타깝게 여겨 최대한 중화 사상적 요소를 배제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오랫동안 주변인으로 남아있던 한국의 신화를 다수 삽입하여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동양 신화를 어떻게 바라보면 좋을지에 대한 관점을 제시했다. 음양이 한데 어우러지는 것처럼 신화도 동서양을 골고루 습득해 보면 어떨까 싶다. 그럼 우리 사회에 내재화된 서구적 습관과 가치관에 대해 의문을 가져보고 더 나은 자신과 미래를 만들 수 있지는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