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을 새워 준비해 혼을 다해 말했더니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뭔데? 라고 들었다... - 상대방의 머릿속에 정확하게 그림을 그려주는 말의 기술 10
다케우치 가오루 지음, 백운숙 옮김, 사가노 고이치 / 청림출판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교양 있는 사람은 상대방의 머릿 속에  그림을 그리듯 알기 쉽게 이야기를 전한다.
지식을 단편적으로 나열하기 보다는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지식을 엮어서 이야기를 한다.


교양을 쌓아 많은 사실을 알게 되면 다양한 관점과 사고방식으로 사회를 바라보게 되어,
이렇게 해서 느낀 점을 사회에 제언하며 사회를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진짜 교양인으로 거듭나기 위해 꼭 필요한 알기 쉽게 말하는 기술에 대하여 알려 준다.
알기 쉽게 말하기 위해서는 접속사를 사용하여 내용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가 이야기에 흥미를 계속 갖도록 호기심이 생기도록 해야 한다.


문장은 짧게, 요점은 3가지로 말을 하면 내용을 명쾌하게 전할 수 있다.
결론은 주제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가장 처음에 두면 이야기 전달이 빠르다.


신문으로 매일 명쾌함을 연마하고, 다각도로 설명할 수 있으면 상대방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
1분에 300자 정도의 속도로 너무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는 속도로 이야기하며,
중간중간 내용을 정리하며 말을 하면 이해하기가 더 쉽다.


어휘력이 좋으면 섬세한 표현을 할 수 있고, 단어를 많이 알아 두면 대화 상대가 누구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단어와 지식을 많이 알면 표현이 폭이 넓어지고, 비유를 들어 말하거나 바꾸어 말하기도 수월하다.
어휘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어  보는 것이 좋다.


속담이나 사자성어를 대화나 글에 적절히 활용하면 리듬감이 생긴다.
어떤 단어를 쓰면 좋을지 고민스러울 때는 유의어사전을 활용하여 유의어를 써 보는 것도 좋다.


의성어와 의태어를 적절히 사용하면 내용 전달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미지를 떠올 릴 수 있는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다양한 표현 패턴을 익혀서 감정을 실감나게 전달해 보도록 하자


어려서부터 토론과 프리젠테이션 경험을 쌓으면, 상대방에게 명쾌하게 전하는 힘이 쑥쑥 길러진다.
명쾌하게 전하려면 먼저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취할 줄 알아야 한다.


대화를 나눌 때는 상대방이 머릿 속에 그림을 잘 그릴 수 있게 해야하고,
상대방이 잘 이해할 수 있는 어휘와 표현으로 말을 전해야 한다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