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경이와 꼬마 쥐 - 제1회 다시 새롭게 쓰는 방정환 문학 공모전 대상작 아이스토리빌 36
오신혜 지음, 최정인 그림 / 밝은미래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휘경이와 꼬마 쥐(: 오신혜, 그림: 최정인, 출판사: 밝은 미래)는 한국방정환재단이 개최한 ‘1회 다시 새롭게 쓰는 방정환 문학 공모전의 대상작으로 선정된 작품이다. ‘시골 쥐의 서울 여행에서 영감을 얻은 이 작품은 약자인 어린이들의 힘과 지혜를 모아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이 잘 드러난 모험이야기이다.

대구에 사는 휘경이는 화장실에서 우연히 말을 하는 꼬마쥐를 만나게 된다. 화장실에 가기 싫어 하던 휘경이는 점점 꼬마쥐와 친한 친구가 되어 비밀도 털어놓는 가장 친구가 되어 버린다. 꼬마쥐와 함께한 비밀장소가 되어버린 밖의 화장실은 엄마아빠는 쥐가 나온다며 쥐약을 뿌리고 화장실을 없애려 공사를 시작하려 한다. 평소에 무조건 안돼”,“안돼하는 엄마가 미운 휘경이는 친한 친구 꼬마쥐 가족들이 살고 있는 화장실을 없애려 하자 꼬마쥐와 함께 서울에 있는 할머니댁을 가려고 한다. 서울역에 도착한 휘경이와 꼬마쥐 그리고 꼬마쥐와 같이 말을 하는 서울쥐를 만나 생각하지도 못한 경험을 시작하게 된다. 서울쥐를 통해 나쁜 아줌마를 만나고 은유 누나와 함께 아상한 배달까지 하게된다. 시간이 흘러 휘경이와 꼬마쥐는 탈출계획을 세워 아이들과 나쁜 아줌마에게 데려온 서울쥐까지 함께 대탈출을 벌이게 된다.

 

 

휘경이와 꼬마쥐는 어린이들의 성장과 자립에 대한 욕구와 부모 곁을 벗어났을 때 두려움을 잘 보여주며 아이들의 마음을 대변해 준다. 어릴 때 한번쯤 집을 떠나고 싶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을까 한다. 나도 어릴적 잔소리하는 부모님이 싫었다. 떠나볼 생각도 했던 것 같다. 지금의 내아이들과 책을 읽으며 아이러니하게도 바보 같은 질문을 하게된다. 휘경이 엄마처럼 안돼할때는 엄마가 싫어 질때가 있다고 한다. 휘경이와 같은 나이라서 그런지 책읽는데 몰입도가 굉장히 컸다. 나또한 부모의 말들이 잔소리 이고 스스로 할수 있는데도 끼어들고 못마땅한 듯 다시 이야기 하고 방해받는 것이 싫었을 아이의 마음을 볼수 있었다.

소파 방정환의 선생의 시골쥐의 서울여행을 모티브로 했지만 휘경이와 꼬마쥐는 약자인 어린이들의 힘과 지혜를 모아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모험을 펼쳐 보인다. 나쁜 아줌마에게 데려온 서울쥐가 밉기도 하고 속상했지만 결국 서울쥐도 나중엔 나쁜짓이라는 걸 깨우치고 도와준다. 꼬마쥐는 휘경이와만 탈출하고 싶었지만 휘경이의 설득에 함께 탈출에 동의한다. 읽으면서 요즘 어린이들은 함께서로 도와준다는 의미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졌다. 울집 두녀석 자기가 어지르지 않았다고 내가 한거 아니야라고 말할때가 있다, 다시 엄마는 잔소리가 시작되겠지만 생각으론 아쉬움이 든다. 또 어려움이 닥쳤을 때 부모에게 도움을 요청할때가 많은 것 같다. 하지만 휘경이와 꼬마쥐에서는 두렵지만 용감하게 어른의 도움없이 탈출에 성공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들과 뜻하지 않게 상황극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나쁜 아줌마에게 아이들이 다치면 어떡하나 두렵고 울기도 했다. 자기는 절대 나쁜 사람 만나지 않을 거라며 엄마 옆에 꼭 붙어 다니면 된다면서 때아닌 교육적인 시간이 된 것 같아 조금은 아쉬움이 있었으나 한번쯤 어린이 입장에서 생각해볼수 있고 어른이라고 다 좋은 사람만 있는건 아니라는걸 깨닫는 시간이기도 했다.

휘경이와 함께 아이들을 도운 은유누나처럼 수많은 인연의 소중함 그리고 힘들고 어려운 순간을 이겨내는 용기를, 마음의 방황이 되는 친구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