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파우스트 2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이인웅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리보단 나만의 문장을 찾는 것에 초점을 두고 책을 읽었다.


읽으면서 느낀 거는 표현이 정말 좋다는 것이다.



기적을 원하는 자는 자신의 믿음을 굳게 해야 할 것이외다. (p35)


​→​문장이 '해야 한다'가 아닌 당사자의 노력이 수반되야 (기적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를 강조한 '할 것이외다.'로 끝나서 좋았다.

 


잠시 동안의 달콤한 재미가

거품이 부글대는 독약으로 변하리라!

여기엔 흥정도 없고 에누리도 없나니-

저지른 죗값은 그대로 치러야만 하리라. (p55) 


 

 

 

침착하게 계속 올라오시면, 행운이 당신을 끌어올릴 것이니, (p105)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이 문장이 떠올랐다.




​충고 따위가 인간에게 도움 된 적이 있었던가?

​현명한 말도 굳어버린 귀에는 마비되고 마는 법이지. (p220)





 

내면의 자아를 다스릴 줄 모르는 자는, 누구나 자기의 오만한 뜻에 따라,

이웃 사람의 의지를 지배하려 하니까요. (p154) 

 




 

 

나를 길 잃은 놈이라고 말하지 마라.

이래도 난 마음 내키는 곳에 와 있는 것이다. (p47) ​이렇게 적혀있다.

나는 이 문장을

'내가 행동하는 것이 아무 이유 없는 것처럼 보여도 내 마음이 이끄는 대로 가는 것이니 뭐라 하지는 말라.'

이런 의미로 받아들였다.

 

​→사람들은 (책에 있는 문장으로 표현하자면) 정해진 길로 가지 않는 사람 보고

 "길을 잃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 길이 남에게 피해만 주지 않는다면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진부한 말이지만 사람은 그 사람 나름대로의 방식이 있고 길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길을 잃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오직 자신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알아요, 시원한 바다에서 물고기들이 근심 없이 떠돌며,

유쾌하고 평탄하게 잘 산다는 것을. (p217)

→​물론 표현상 물고기들에게 근심이 없다고 했을 수 있지만

순간 '과연 물고기들에겐 근심이 없을까?' 이런 엉뚱한 생각을 했다.

근심을 근심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지낼 수는 있어도

물고기가 근심이 없진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겠죠? 아닌가 ㅎㅎ)






 




책이 심오해서 그런지, 문장에 초점을 맞춰 읽어서 그런지

물론 둘 다 해당되겠지만 읽으면서 내가 책이랑 조화롭지 못 했다. 이 점이 아쉽다.

번역가는 해설을 먼저 보는 것을 권한다.

아무래도 해설을 본 후 책을 읽게 되면 스토리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한결 편해질 것이다.

다만, 결과를 알고 책을 읽으니 나름의 추측을 하는 재미는 떨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내 스스로 아쉬움이 있어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인내를 가지고 다시 도전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류시화 엮음 / 오래된미래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 시를 저자가 역은 시집이다.

책 끝부분엔 해설도 있다.

시 전부가 좋았던 것은 아니다.

저처럼 시에 대해 접해보고 싶거나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분에게 추천합니다.

하루에 하나씩 아니면 제목이 끌리는 시, 그날의 기분에 따라 골라 읽는 것이 좋은 것 같다.

나 또한 그렇게 읽었다. 이것이 시가 가지고 있는 나름의 재미라 생각한다.


많은 시들 가운데 하나의 시만 소개하려 한다.

이 시집에서 가장 좋아하는 시도 아니고 가장 기억에 남는 시도 아니다.



밑줄긋기사진추가



밑줄긋기사진추가


내가 느끼고 있는 것을 당신도 알고 있다고는 말하지 말아 주세요.

당신 또한 아이를 잃었다면 모를까요.


​이 부분을 읽는데 갑자기 멍해졌다.

생각지도 못하다가 한대 제대로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이 시는 아이를 잃은 엄마가 쓴 것이다.

나는 아이를 잃은 엄마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고 읽었다.

그 입장을 생각하고 읽으냐 그냥 읽으냐는 직접 읽어본 결과 나에겐 전혀 다르게 느껴졌다.

만약 이 시를 평범한 사람이 썼다 해도 시의 주인공의 입장을 생각하며 읽어봐야 한다고 느꼈다.


시에 대해 잘 모르는 나에게 시에 접근하는 방법을 알려 줬기에

많은 좋은 시들 중 이 시를 선택했다.


이처럼 시를 쓴 사람의 심정을 생각하고 읽는 것 또한 시의 매력인 것 같다.

시를 잘 모르는, 읽은 지 얼마 되지 않는 나에겐 그렇다.


​'삶을 멈추고 듣는 것'이 곧 시다. (p138) 



좋은 시는 어느 날 문득 자신과 세상을 보는 방식을 새롭게 한다. (p142)


​→내가 시를 접하게 된 이유이다. 시인이 사물이든 세상이든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에 매력을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