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전출처 : 따오리 > 제1 서평자에게.
자크 라캉 1 - 라캉과 그의 시대
엘리자베트 루디네스코 지음, 양녕자 옮김 / 새물결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제1 서평자께서는 영어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제법 지식을 갖춘 분인 것 같지만, 지극히 단편적인 시각으로 책을 읽으시는 분이라는 사실에 실망을 금할 수 없습니다. 사소한 인간의 일상적인 에피소드를 모은 책이라고 도저히 말할 수 없는 그런 책을 그렇게 읽어버리시니 참으로 안타깝군요.

라캉의 사상적 고투와 새로운 체계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지적 영역으로 시야를 확장시키는 열정이, 단지 분석 시간을 줄임으로써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한 작전으로 보인다면, 그대는 차라리 책을 읽지 않았던 편이 더 나았을 것을 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라캉에 호의적이건 적대적이건 그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루디네스코가 라캉에 비호의적이었다고도 생각되지 않을 뿐 아니라, 라캉을 위한 변명을 쓰기 위해 그 두터운 책을 썼다고도 생각되지 않는 군요.

그 책은 라캉이라는 한 비범한(어떤 의미에서건 그렇습니다) 인물의 사상 형성 과정을 따라가며 그려나가는 프랑스 지성사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무시하지 마십시오. 프로이트와 안나 그리고 클라인 등 정신 분석학 본류의 관심사는 물론이고, 알렉상드르 코이레의 비교종교사 연구, 코제프의 헤겔 독해, 바타이유, 푸코, 그리고 프랑스와즈 돌토에 관해 다룬 곳에서는 만나기 쉽지 않은 아주 특별한 서술 등등등, 이 세기 유럽 아니 현대 사상의 지형도를 바꾼 거인들의 사상적 실험들이 평범하지 않은 그들의 삶의 이면과 함께 제시되어 있는 데도 아무런 감동을 느낄 수 없다면, 그런 지성과 감수성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누구를 무조건적으로 특별히 숭배할 이유도 없지만, 강박적으로 비난하는 닫힌 독서 태도는 그대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는 커녕 오히려 척박하게 만들지나 않을지 염려되는 군요. 정신분석학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지지 않더라도, 현대 지성계의 문제 의식과 프랑스 지성계의 흐름에 관심을 가진 분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그런 책입니다. 특히, 역자의 새련된 번역이 그 책의 가치를 더욱 높여주고 있다는 느낌을 금할 수 없군요. (아마 처녀작이지 않은가 싶은데?) 책 날개에 소개된 라캉의 다른 저작과 돌토의 책이 기대되는 군요.

한마디, 출판사에서는 라플랑슈의 '정신분석학 용어집'을 번역할 의사는 없으신지? 하나더, 라깡의 평전이 나오기 전에 세계 정신분석학의 역사에 관한 균형잡힌 역사서가 먼저 나왔어야 하지 않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군요. 적어도 피터 게이의 프로이트 평전 정도는 먼저 번역이 되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물론 출판 사정의 어려움을 고려하지 않고 하는 기대입니다만.

그리고 라깡이 그의 사상을 완성하기 위해 고투하던 동시대 파리에는 새로운 하나의 사상 혁명이 준비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싶군요. 라깡과 직접 관계는 없지만, 라깡 평전에도 등장하는 고등연구원(EPHE) 및 코이레, 듀메질 등과는 인연이 깊은 종교사연구의 흐름이 그것입니다. 우리나라에 널리 알려진 종교사가 엘리아데의 회고록과 일기가 바로 그 당시 프랑스 지성계의 다른 일면을 전해주는 대단히 중요한 텍스트입니다. 아직 우리말 번역존이 나와 있지 않지만, 관심있는 독자는 불어본과 영역본을 구해서 읽으시길...루디네스코의 저작과 병행해서 읽는다면 20세기 중엽 프랑스 지성의 지형도를 그리는데 훨신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바램에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따오리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즈마리 > [퍼온글] 언어철학 관련 책들2

아래 글에 이어...네이버에서 퍼왔습니다. 사진은 제가 넣었습니다.

K. 포퍼, '추측과 논박'(1, 2권)
- 비엔나 학파를 격침시켰지만, 동시에 후계자로도 여겨지는 포퍼의 저작입니다. 보통 '과학적 발견의 논리'를 꼽지만, 절판된 탓에 이 책을 꼽았습니다. 포퍼의 입장들을 잘 반영한 여러 편의 글들을 싣고 있습니다.
- 여러 철학적 입장들에 대한 포퍼의 입장이 잘 나타나있고, 그의 입장을 대표하는 반증주의에 대한 설명도 잘 나와 있습니다.

 

필립 커, '철학적 탐구'

- 언어 철학의 두 주류를 형성한 위대한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대표적인 후기 저작입니다. '논고'와 달리 요약적이지 않고, 많은 예와 실례를 곁들여 독자와 대화하는 듯한 구성을 취하고 있습니다. 말이 쉽지만, 동시에 어렵기도 하죠.
- '논고'와 마찬가지로 여러 참고 문헌과 함께 읽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J. 오스틴, '말과 행위'


- '철학적 탐구'에서 비롯된 언어 철학의 거대한 흐름인 일상 언어 철학을 대표하는 오스틴의 강의록입니다. 총 12개의 강의를 싣고 있으며, 오스틴의 입장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발화행위, 발화수반행위, 발화효과행위 등과 같은 초기 화용론적 견해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이후 설에 의해 정교화 됩니다.

J. R. Searle, 'Speech Acts'
- 언어 행위론의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오스틴의 입장을 이어받아 정교화 시켰으며, 'Speech Act'(언어 행위)라는 이름으로 체계화시키는 데 큰 공헌을 세웠습니다.

H. G. Gadamer, 'Truth and Method'
- 언어 철학자라고 하기는 뭐하지만, 해석학에서의 '언어적 전환'(물론, 하이데거가 선구적이지만)을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가다머의 대표적인 저작입니다. 심리학의 문제로, 혹은 심리학적 방법의 문제로만 여겨지던 이해를 언어의 차원으로 끌어들이는 데 큰 공헌을 세웠습니다.

 


J. 하버마스, '탈형이상학적 사유'


- 언어를 전문적으로 연구하지는 않지만,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환을 사회 이론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하버마스의 저작입니다. 하버마스는 오스틴, 설의 언어 행위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날카로운 비판과 더불어) 가다머를 잇는 대표적인 해석학자이기도 합니다.
- 하버마스의 언어 철학에 대한 태도가 잘 정리되어 있는 글입니다.

 

 


W. 레제-쉐퍼, '칼 오토 아펠과 현대 철학'
- K. O. 아펠은 가다머, 하버마스와 함께 해석학의 거두로 꼽히며, 하버마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스승이기도 합니다. 스스로도 밝히고 있듯이, 하버마스의 선험 화용론은 아펠에게 힘입은 바 큽니다. 아펠은 영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언어적 전환을 독일 철학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하버마스에 대해서도 입문서를 쓴 바 있는 저자는, 이 글에서 아펠의 선험 화용론을 중심으로 그의 전반적인 사상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소쉬르, '일반 언어학 강의'
- 소쉬르는 비트겐슈타인도 그러했듯이 보통의 의미에서 '저서'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 대표적인 저작은 그의 강의를 모아놓은 글이죠. 철학자 비트겐슈타인과 달리 소쉬르는 언어학적 전통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렇지만 양자 사이의 유사성을 꽤 발견할 수 있죠.

 

 

R. 해리스,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
- 현대 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지만, 서로 간에 어떠한 교류도 없었던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을 다루고 있는 글입니다. 둘 모두 체스 게임과 언어 사이의 유비를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는 점이 특이합니다. 양자 사이의 유사점만큼이나 차이점도 많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저자는 대부분 소쉬르의 손을 들어주고 있습니다.
- 규칙이나 문법과 같은 주요한 내용을 이해하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W. V. O. 콰인, '논리적 관점에서'
- 콰인은 프레게-러셀적 전통에서 출발하여 현대 철학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분석철학계의 거장으로 꼽힙니다.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을 많이 수행했고, 철학의 고전적 문제인 분석성, 종합성, 동일성 등에 대한 문제들을 다루었습니다. '존재론적 개입'은 그의 상대주의적인 입장을 나타내는 표어로 등장하지만, 이는 조금 극단적인 해석이긴 하지요. 서로 다른 언어 사이의 번역이 원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번역 불가능성 테제'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 본 저작은 그의 대표 논문들을 모은 것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인용되는 글입니다.

 

S. 크립키, '이름과 필연'
- 20세기를 대표하는 천재 철학자로 꼽히는 크립키는 '고정 지시어'라는 개념을 통해 동일성, 필연성, 선험성 등과 같은 고전적인 철학적 개념들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들을 탐구합니다. 필연성, 가능성 등을 다루는 양상 논리학을 대변하고 있기도 하죠.
- 본 저작은 3회에 걸친 강연을 모은 것으로, 프레게-러셀의 고유명사에 대한 기술 이론을 비판하면서, '고정 지시어' 개념을 통해 필연성과 선험성을 구분하고, 동일성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법을 제시합니다.

 



R. 로티,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 로티는 언어적 전환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비트겐슈타인, 듀이, 하이데거를 위대한 철학자로 분류합니다. 인간의 사고는 언어에 기반하고 있고, 언어는 기본적으로 관행을 따른다는 점에 기초하여, 우리의 사고는 실재를 그대로 반영하는(혹은 해야 하는)거울과 같다는 이미지를 깨는 데 그의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정신이라는 것이 하나의 허상임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 그는 분석철학적 입장에서 가다머의 해석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대화를 지속시키는 중개자로서의 철학 개념을 구상합니다. '자민족 중심주의'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상대주의자라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죠. 수많은 철학자들의 이름이 종횡무진 나열되고 있어서, 그 현란한 지식을 엿보는 것만으로도 재미를(혹은 반감을) 느낄 수 있을 듯 합니다.

N. 촘스키, '언어 지식'
- 촘스키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만, '생성 문법' 개념을 통해 현대 언어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알고 있습니다. 국내 번역된 촘스키의 저작들은(정치적 에세이를 제외하면) 대개 그의 기본 입장을 잘 드러내고 있는 듯 하며, 이 책 역시 그 중 하나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