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연안행
안재성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연안행

안재성(임동순), 2011

원산 부두노동자 연안 조선의용군 참전기

북한 시베리아벌목공 원고 국내 작가가 보완

원작자 소식 끊겨 행방 아리숭 안타까움

이 작품은 마치 몇 년 전 천재 소녀라고 언론매체에서 추켜세웠던 백이무의 작품 ‘꽃제비의 소원’ 같은 운명을 타고난 작품이라고 할까? 두 사람 모두 북한 국적자로서 문학적인 소양을 가지고 북한 아닌 외국에서 작품을 써서 국내에 작품이 출간된 것이다. 그리고 작가들이 그 후 소식이 끊긴 상태도 같은 형편이다. 시인 여성은 제3국에서 한국으로 오고 싶어 하다가 소식이 끊어졌고, 이 작품의 원작자 임동순은 러시아로 귀화한다는 얘기가 있었다가 소식이 끊어졌다고 한다.

작가 안재성은 수년 전 어느 날 문학상 응모작품을 심사하던 중 이 작품을 발견하고 작가를 수소문한 결과 국내인이 아닌 시베리아 북한 벌목공임을 알게 되었다. 이메일로 그와 연락을 하면서 그의 작품을 국내에서 출판하는 문제를 의논하기도 했으나 여의치 않았다. 그러나 그의 소식이 끊어진 후 작가가 수정 보완하여 작품을 출판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사연을 지닌 ‘연안행’은 독립운동의 뜻을 품고 상해로 망명, 조선의용대에 입대하여 중국 중북부 일대에서 항일투쟁을 했으며, 모택동 부대가 주둔한 연안에서 활동한 후 해방을 맞아 귀국해 북한에서 산 아버지의 일대기를 듣고 아들이 엮어낸 이야기이다.

아버지의 항일 투쟁기에서 함께 투쟁하며 전선에서 사랑을 했던 연상의 연인의 죽음과 이별에 대한 애틋한 사연이 가슴을 저리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문예총서 3
김병학 지음 / 인터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앙아시아 하면 저 악랄한 독재자 스탈린에 의해 허허벌판에 강젱제이주당한 한민족 후손 고려인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청년시절부터 이곳에 와서  한글을 가르치며 고려인들과 애환을 함께 해온 저자가  풀어놓는 고려인 현주소 이야기이다.  특히 한민족의 정신매체인 '레닌기치'의 후신인 고려일보 사람들에 얽힌 이야기는 흥미를 돋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유찾아 천만리
지현아 지음 / 제이앤씨커뮤니티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함경남도 청진 출신인 지현아씨는 1998년 1월 1차 탈북을 시도한 후 2002년 11월 탈북에 성공, 자유를 찾기 까지 세 차례 북송에도 굴하지 않고 오로지 자유를 찾으려는 신념 하나로 버티어 온 힘겨웠던 나날을 ‘천만리’로 표현하고 있다. 그녀는 네 번의 탈북에 세 번의 북송을 겪기까지 물리적인 거리는 말할 것도 없고, 태어난 조국이지만 버리고 떠나지 않으면 안 되었던 무참한 심리적인 거리를 포함한 먼 길을 에돌아 자유 천국으로 온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처음 아버지가 먼저 탈북을 제의했을 때 위대한 수령이 보살펴 주는 조국을 떠난다는 것을 납득할 수 없어 반발했다. 그러나 그후로 탈북을 거듭하면서 어처구니없는 북한의 현주소를 깨닫게 되고, 나이 어린 처녀로서 야멸치게 품게 된 인간의 꿈, 자유를 찾아 나선다. 그녀는 결국 네 번째 탈북에 성공했으나 중국을 떠나는 마지막 관문에서 들 떤 여권사진 때문에 탈락, 한국주재 중국대사관원의 치밀한 통화 검증을 거친 후 한 달 만에 자유를 향한 승선에 성공했다. 그리고 자리에 누웠다. 그녀는 생사를 넘나들며 맞이 한 그 순간을 이렇게 되뇌었다.

“짐을 풀고 내 자리에 누웠다. 편안하게... . 아주 편안하게 누웠다. 내 일생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로 누웠다.”

다음 날 아침, 곱게 화장하고 갑판에 올라 인천 앞바다 위로 붉게 타오르는 해를 보며 조국에 몸을 맡겼다.

어린 처녀의 몸으로 부딪치지 말아야 할 역경에 알몸으로 부딪쳐 가며 단신 이루어낸 자유에의 꿈, 그것은 인간의 위대한 승리였다.

 

탈북의 실정을 알기 위해 꼭 읽어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해주 2 - 백마는 발해를 꿈꾸다
김용필 지음 / 도화 / 2015년 11월
평점 :
품절


젊은 세대에게 새롭게 일제하 독립전쟁사를 이해시키는 저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해주 - 그 전설의 노래
김용필 지음 / 도화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일제하 만주지역 독립군의 연해주 이동의 배경과 연해주에서의 활동, 여기에 볼세비키혁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독립군의 고난, 연해주 독립운도의 대부 최재형 선생 얘기등 새롭게 펼쳐진 역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