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3 : 속담 - 어원을 밝혀 가는 흥미로운 우리말여행 유래를 통해 배우는 초등 국어 3
우리누리 글, 홍수진 그림 / 길벗스쿨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울아이는 평소에도 속담에 관심이 많았답니다.

 그래서 길벗스쿨에 속담책이 나왔대서 얼른 사주었지요.^^

 길벗스쿨 책 사주어서 아이가 안좋아한 적이 단 한번도 없었으니까요.

 아니나다를까 아이의 반응이 실로 폭발적인데요~!

 앉은자리에서 술술 다 읽더니 얼굴이 환해지네요.

 과연 무슨 책이길래 이토록 좋아할까 저도 한번 읽어 보았답니다.

 

 

 



 

책 앞표지에 어원을 밝혀가는 흥미로운

우리말 여행이라고 써 있네요

그럼 한번 여행을 떠나 볼까요?

 

 

 



 

어느 날 울 큰애가 동생에게

"넌 도대체 쇠귀에 경읽기구나~!"

하더라구요.

속담을 적재적소에 쓸 줄 알다니

얼마나 신기하고 기특하든지요.

그래서 그게 무슨 뜻인지 알고 있나 물어보니

아주 신이나서 줄줄 말하더라구요.

아이가 책을 재미있게 읽으니 머리 속에 쏙쏙 들어가나봐요.

 

 

 



 

요렇게 만화로 실제 생활에 속담의 쓰임새를

알려주니 속담의 뜻을 정확이 알 수 있고,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참 좋네요.

 

'쇠귀에 경읽기'라는 속담의 어원과 유래에 대해

아주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듯이

쓰여있어 아이가 부담없이 읽을 수 있어요

 

중국 노나라에 공명의라는 사람이

소가 일해주는 것에 대해 고마움을 표현하고 싶어

거문고 소리를 들려 주었지만

소는 전혀 반응하지 않고 풀만 뜯고 있었지요.

소에게 거문고 소리를 들려주는 것처럼,

아무리 좋은말이라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소용이 없다는 뜻이랍니다.

'경'은 옛날 선비들이 공부한 책인데요

책 속에 담긴 가르침이 아무리 훌륭해도 말귀를 못알아듣는 소가

알아들을 리 없지요.

어리석은 사람은 아무리 좋은 말을 들어도

깨우치기 어렵다는 뜻이에요.

 

'쇠귀에 경 읽기'와 비슷한 속담도 소개해 주시네요

바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사물을 두루 보지 못하고 융통성이 없이 어느 한 면만

보는 것을 이르는 말이랍니다.

음...바로 저를 두고 하는 속담인 것 같네요...^^::

 

이 책에서는

동물의 모습에 빗댄 속담

생활, 풍속에서 나온 속담

사람의 습성을 담은 속담

역사 속 인물이 가르쳐 준 속담

자연의 이치, 교육에서 깨달은 속담

등등으로 자세히 분류해 주셔서 속담의 유래와 의미를

더욱 잘 이해할 수가 있어요

 

속담에는 선조들의 지혜와 생활 모습이 듬뿍 담겨 있어서

적재적소에 잘 쓴다면

재치있고, 유익할 것 같아요.

울아이도 이 책 덕분에 친구들에게 인기가 되었답니다.

속담을 쓰고 유래도 가르쳐 주니 친구들이 좋아한대요. ^^

바로 길벗스쿨 <그래서 이런말이 생겼대요> 덕분이지요

울아이가 이 책 홍보대사 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