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본 사슴 - 1936년 100부 한정판 백석 시집 소와다리 초판본 오리지널 디자인
백석 지음 / 소와다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쇄상태가 안 좋아서 철자를 알아볼 수 없는 부분이 많습니다. 원본 그대로를 재현하더라도 인쇄상태가 안 좋은 부분은 주석으로라도 좀 표기를 해두어야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자전쟁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온전히 지적인 소재에 매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불 1
최명희 지음 / 매안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의 보물상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스토리아 대논쟁 5 - 로크 VS. 마르크스의 소유론 논쟁 / 하이에크 VS. 케인즈의 시장과 정부 논쟁 히스토리아 대논쟁 5
박홍순 글 그림 / 서해문집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술시험을 통한 선발 인원이 많이 축소되기는 했지만 현행 대학입시의 수시전형에서는 논술시험이 여전히 중요한 선발기준이다. 평가기준의 객관성 확보 문제와 선발과정의 번거로움에도 불구하고 유수의 대학들이 논술시험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려는 이유는 분명하다. 단편적인 지식만을 습득하고 있는 학생보다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갖춘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선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취지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토론 위주의 교육제도로 재편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적이고도 제도의 취지와 부합되는 방안이겠지만 현행 교육제도의 전면적인 개혁을 기대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일선에서 학생들에게 논술을 지도하는 입장에서도 늘 부족함을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교수방법과 교육환경은 변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기간에 논술시험이라는 관문의 통과를 바라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요구사항을 외면할 수 없기에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또다시 단편적인 논술“요령”을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하게 될 때가 다반사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좋은 해결책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해도 좋다. 토론과 논쟁의 생활화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의 배양에 일조하기 위함이라는 원래의 출간 의도를 넘어서 통합논술이라는 입시를 대비하는 수험생들에게도 훌륭한 지도서로서 모자람이 없다. 논술시험이 주어진 주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 측정이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데 이러한 사고력을 배양하려면 단편적인 사상이나 논리를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쟁점이 되는 사안이 대두하게 된 역사적 배경이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고서는 종합적인 사고력 배양과 체계적인 비판도 가능하다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중의 논술 교재는 깊이 있는 사고를 유도하기보다는 논리의 소개에 그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저자의 히스토리아 대논쟁 시리즈는 이런 점에서 다른 교재들과 구별되는 미덕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출간된 5권 뿐만 아니라 시리즈 전체가 특정 주제에 대한 대사상가들의 토론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전이라 일컬어지지만 접근하기 쉽지 않은 대사상가들의 책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현대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가상의 토론 형식을 통해 논리를 전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책장 어느 구석에서 먼지 쌓여가는 고전적 논리가 현대에도 그대로 살아 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 흥미진진한 경험을 제공한다. 주제에 대한 토론자의 논리뿐만 아니라 이런 가상 토론의 사회자가 어떻게 토론을 이끌어 가는지 주의를 기울여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논리적인 사고의 습관을 훈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가상의 토론이라는 형식이 가지는 자의적인 왜곡의 위험은 “원문읽기”의 장을 통해 논쟁의 바탕이 되는 대사상가들의 원서를 그대로 소개해 놓음으로써 독자가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문제되는 현안들도 쟁점으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제기가능한 다양한 대안들도 제시하여 자칫 고리타분한 역사적 논쟁의 소개에 불과할 수 있는 내용에 생생한 현실감을 주어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는 것도 이 책이 가지는 장점이다. 더불어 책의 말미에는 “키워드”라는 장을 따로 마련하여 쟁점이 되는 사안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들을 자세히 설명하여 개념의 체계적인 학습도 돕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